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대
요즈음
최근
근간
최신
요사이
현시대
뉴스
"
근대
"(으)로 총 20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입국(科學立國) 50년] 과학자 집안에 듣는 국내
근대
과학 변천사
2016.01.02
1966년 설립돼 올해 설립 50주년을 맞은 한국과학기술원(KIST) 전경. - KIST 제공 “지난해 5월 박, 존슨 회담에서 합의된 과학기술연구소가 금주 안으로 재단법인 한국과학기술연구소라는 명칭으로 정식 발족게 됐다.” 동아일보 1966년 2월 2일 자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영국 국보급 과학유물, 한국 온다
2015.11.11
위대한 실험들’을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현대과학의 토대가 된 영국
근대
과학의 탄생과 발달 과정을 소개하기 위해 기획한 것으로, 지난 2013년 박근혜 대통령이 영국을 방문했을 때 영국왕립학회와 맺은 MOU를 바탕이 됐다. 전시장에서는 영국 왕립학회와 영국국립과학관이 ... ...
2050년 한국인도 ‘기후 난민’ 되나
2015.10.14
난민의 전조 증상이었다. 19세기 엘니뇨로 40년 동안 지속된 세계적인 가뭄은 제국주의와
근대
화를 만나 브라질 ‘카누두스 전쟁’과 같은 비극을 낳았다. 인도-파키스탄 갈등, 아프가니스탄 전쟁 뒤에도 혹독한 기후로 인한 곡물과 빵의 부족, 기근의 고통이 있었다. 이런 분석에 따라 기후변화는 ... ...
[수학교육 논쟁] 수학 교육, 줄일 게 아니라 흥미롭게 만들어야
2015.09.16
바꾼 노엄 촘스키 같은 사람은 모른 척 하자. 수학과 통계학을 체계적으로 도입해서
근대
적 의미의 공중보건을 정립한 나이팅게일도 무시하자. 그래도 어쩌겠는가. 빅데이터의 활용이 일상화되고 새롭게 출현하는 직업들이 이런 소양을 요구하면서, 전통적으로 문과 학생들이 진출하던 홍보와 ... ...
[광화문에서] 창조과학이라는 유사과학
과학동아
l
2015.09.08
이름의 유사과학(사이비과학) 신봉자를 보면 떠오르는 생각이다. 수백 년
근대
과학이 만든 도저한 지적 성과를 얼토당토않은 말 몇 마디로 지우려 애쓰는 모습을 보면 지독하게 반문명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른 이의 과학적 연구 성과를 아전인수로 해석해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 맥락 ... ...
PART 0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
과학동아
l
2015.08.27
한다. 그러나 사실 미적분의 토대는 불완전하고 의심스러웠으며 모순이 가득했다.
근대
철학의 아버지이자 해석기하학의 창시자인 르네 데카르트는 '물리학의 모든 대상은 기하학으로 환원된다'고 했다. 기하학은 당시 사람들이 수학과 같은 뜻으로 쓰던 말이었다. 자연현상을 이해하는 데 수학의 ... ...
가장 이색적인 똥 직업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14
● 똥 직업 4) 분뇨 수거인 신분 : 하 업무강도 : ★★★★ 위험성 : ★★★★ 아직
근대
상하수도 시설이 갖춰지기 이전에 사람들은 건물 위에서 그대로 인분이나 쓰레기를 거리로 쏟아 버리곤 했어요. 그럼 오물이 행인들의 머리에 떨어져 봉변을 당하곤 했지요. 16세기 들어서는 영국 런던에 ... ...
[광화문에서/윤신영]은유로서의 질병
동아일보
l
2015.07.01
것은 병이 마치 작용하는 주체로 존재하는 것처럼 간주하는 말투”라고 지적했다(‘일본
근대
문학의 기원’). 질병은 추상이었는데 마치 뭔가 구체적인 존재처럼 취급되게 됐다. 이 지적은 지금도 유효해서 우리는 지난 한 달 동안 각종 뉴스에서 메르스와 맞서 싸우는 내용의 기사를 수도 없이 ... ...
[미래를 듣는다 3] “기술과 기업이 국민 행복의 1순위”
2015.03.25
극적인 표현이지만 결국 산업화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고대 농업사회를 지나
근대
적인 산업자본주의시대가 도래한 이래 국가가 발전하고 국민이 행복한 국가는 모두 산업혁명 즉 ‘산업화’를 통해 국가의 영광과 국민적 행복을 쟁취했습니다. 영국이 주도한 제1차 산업혁명은 석탄·섬유·철강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실체를 가려 손택은 은유로서의 질병으로 결핵과 암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한국
근대
문학을 이끈 작가들 가운데 이상, 김유정, 나도향 등 폐결핵(폐병)으로 요절한 천재들이 있듯이 서구문학계도 체코의 소설가 프란츠 카프카를 비롯해 영국의 시인 존 키츠과 소설가 D. H. 로렌스 등 여러 작가들이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