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핵인
뉴스
"
세포인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폐포 배양해 코로나19 감염시켜 보니 6시간만에 완전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며 “동물 장기 세포가 아닌 호흡기 바이러스의 표적
세포인
사람의 폐포를 직접 활용했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감염 기전을 규명할 수 있고, 치료제 개발에도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쟤는 증상없는데 왜 나만 중증?…코로나 환자별 증상 다른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TFH는 기능 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또다른 면역
세포인
B세포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RNA 시퀀싱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반응하는 면역세포의 특성을 알아낸 것으로 중증 환자의 면역반응을 비교하기 위한 ... ...
암 전이 막는 항암요법·나노 입자 결합 기술...'인류 삶 바꿀 난제' 연구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연구팀은 주장했다. 유선생물학및종양저널 제공 연구팀은 조직이나 세포에 부착된 암
세포인
고형암세포가 특정 조건에서 떨어져 부유하면서 순환암세포가 될 수 있다는 데 주목했다. 이 순환암세포가 다시 다른 조직이나 기관에 부착해 퍼지면서 전이가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부착 ... ...
말라리아 치료제 클로로퀸, 코로나19 폐세포 감염 막지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7.23
자랑하는 등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연구팀은 약물 검증에 주로 쓰이는 원숭이 신장
세포인
‘베로세포’와 인간 폐 세포로 만든 ‘칼루-3’ 세포를 이용해 클로로퀸이 어떻게 코로나19 감염을 막는지를 검증했다. 베로세포는 아프리카 초록원숭이의 신장에서 만든 세포로 배양 실험에 쓰인다. ... ...
뇌졸중 후유증 치료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
세포인
별세포가 과다 분비돼 주변 신경세포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차례로 기능해리를 일으킨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 8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 한번에 쥐의 파킨슨 병 완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7
수 주 후 신경망을 형성한 것이다. 연구팀은 뇌 조직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인
‘성상세포’에 이 발견을 적용할 수 있음을 깨달았다. 성상세포는 PTBP1을 발현해 뉴런 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한다. 연구팀은 쥐에게서 얻은 성상세포에서 PTBP1을 제거했고 신경 물질인 도파민을 만들어내는 ... ...
인간 피부세포로 만든 '미니' 간(肝), 쥐에 이식 성공
연합뉴스
l
2020.06.03
공로로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iPS는 어떤 세포로도 분화할 수 있는 만능
세포인
배아줄기세포와 거의 똑같은 능력을 지닌 원시세포이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전문지 '셀 리포트'(Cell Reports)에 발표됐다. [피츠버그대학 연구팀 제공] ... ...
코로나19 바이러스 코에 가장 잘 달라붙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설계해 코와 기관지, 기관지에서 폐로 뻗어나가는 세기관지, 폐포 바깥
세포인
1형과 속
세포인
2형 폐포세포 등을 감염시키는 능력을 살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돌기단백질을 인간 세포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에 결합시키며 세포 속으로 침투하는 능력을 만든다. ... ...
사람 눈보다 시력 좋은 인공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망막은 안구벽의 가장 안쪽에 돔 형태의 얇고 투명한 막으로 약한 빛을 감지하는 감각
세포인
광수용체가 들어있다. 망막 1제곱센티미터(㎠)당 들어있는 광수용체만 약 1000만개에 이른다. 김재휘 건양의대 김안과병원 교수는 “망막 속 광수용체는 빛을 감지해 전기적 신호로 바꿔 신경을 통해 ... ...
"피부세포로 직접 망막세포 만들었다"
연합뉴스
l
2020.04.17
과학자들은 망막세포의 광수용체를 만들기 위해 먼저 피부세포나 혈액세포를 원시
세포인
유도만능줄기세포(iP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로 환원시킨 다음 다시 iPS를 망막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을 밟았다. 미국 NEI 신경생물학-신경퇴행-수리 실험실(Neurobiology, Neurodegeneration and Repair Laboratory)의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