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핵인
뉴스
"
세포인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임신 초기 고지방 음식 먹으면 아이는 짠음식 선호"
동아사이언스
l
2023.04.27
임신 중 고지방 식단을 실시한 쥐 그룹에서 태어난 어린 쥐들은 짠맛을 감지하는 감각
세포인
미뢰와 단백질이 대조군에 비해 풍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 쥐들은 미뢰와 단백질을 증가시키는 AT1 유전자가 대조군에 비해 더 많이 발현됐다. 연구팀은 “AT1 유전자는 미뢰에서 나트륨 흡수량을 ... ...
알츠하이머 뇌세포 변화, 영상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때 가장 먼저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는 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
세포인
별세포의 크기와 기능이 변하는 반응성 별세포화다. 앞서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은 반응성 별세포가 마오비(MAO-B) 효소를 발현해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를 생성하고 기억력 감퇴를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나무와 버섯의 은밀한 공조 '공생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1.28
나무는 한집살이 중 능이버섯과 같은 공생균은 땅속에서 버섯 몸체를 이루는 실 모양
세포인
‘균사’를 멀리 뻗어가며 공생할 나무를 찾습니다. 공생하기 좋은 적당한 나무를 만나면 균사가 나무 뿌리를 휘감습니다. 균사는 뿌리를 휘감으며 서서히 나무 뿌리를 감싸는 층인 ‘균투’를 ... ...
근위축증·수면병 치료제…올해 주목할 임상시험 11개는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끈다. 시몬 스풀러 독일 막스델브뤼크센터 연구원 연구팀은 근육을 재생하는 유일한
세포인
근육줄기세포를 교정하는 치료법을 검증하고 있다. 연구팀은 새로운 단백질 세포를 환자에게 주입하고 몇 달 동안 새로운 근육이 생성되는지 확인할 계획이다. 백신 접종자의 ... ...
분노는 ‘팡’ 터지지 않고 서서히 끓어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초미세 내시경을 장착하고 복내측 시상하부에 있는 뉴런들의 변화를 관찰했다. 신경
세포인
뉴런은 뇌와 감각기관이 신호를 주고받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 뉴런들은 쥐들이 처음 서로 싸울 때 아주 약한 활동 반응을 보였다. 이 반응은 싸움이 끝난 후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동안에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주기를 따른다는 발견이다. 논문에서 저자는 그때까지 알고 있던 두 가지 광수용체
세포인
막대세포와 원뿔세포 외에 또 다른 세포가 있어 빛을 감지해 그 정보를 뇌의 시각피질이 아니라 일주리듬 조절영역으로 보낸다고 추측했다. 그 결과 유전자 결함으로 막대세포와 원뿔세포가 없어 보지 ... ...
정자·난자 없이 ‘쥐 인공 배아’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4
제공 이스라엘 과학자들이 정자와 난자 없이 동물의 인공 배아를 만들었다. 배아는 생식
세포인
정자가 난자가 만나 결합된 생명체로 태아의 전 단계를 의미한다. 3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과학자들은 쥐의 줄기세포를 이용해 초기 단계의 뇌와 심장을 갖춘 ... ...
[표지로 읽는 과학]바다에서 발견된 수분매개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그 위에 앉아있는 벌레 정체는 절지동물의 하나인 등각류다. 몸의 껍질에는 홍조류 생식
세포인
수배우자(부동정자)가 붙어있다. 사이언스는 29일 바닷속 환경에서도 동물매개 수분이 이뤄진다는 두 연구진의 연구 결과를 이 표지와 함께 소개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바다에 사는 등각류는 ... ...
“70대 급격히 허약해지는 이유는 혈액구성의 치명적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2.06.02
최대 20만개에 달하는 서로 다른 유형의 줄기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매우 다양한 혈액
세포인
적혈구와 백혈구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러나 65세 이상의 경우 혈액세포의 절반은 고작 10~20개의 개별 줄기세포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 혈액세포의 다양성을 대폭 ... ...
코로나 백신접종 후 감염시 중증 억제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비슷한 수준의 면역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억 T세포 중 면역을 돕는
세포인
CD4 도움 T세포가 면역물질 ‘인터페론-감마’를 분비하는 정도는 기존 바이러스 대비 오미크론 변이에서 80~88%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백신으로 만들어진 면역반응 중 중화항체는 오미크론 변이가 회피할 수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