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느낌
감촉
센스
인지
직감
지각
감응
d라이브러리
"
감각
"(으)로 총 1,555건 검색되었습니다.
(2) 가상 연주장·청중 입력 실제와 꼭같은 음향테스트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속의 물체에 반사하는 빛과 물체들이 발생하는 소리 등의 신호는 우리의 눈과 귀 등
감각
기관을 통해 감지되며 이로 인해 인간은 자신이 존재하는 환경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물체에서 발생하거나 반사되는 빛 소리 등과 같은 신호를 어떤 장치로 생성해 인간에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 ...
CD·LD의 작동원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걸린다. 전파는 무전기가, 필름은 영사기가 있어야 해독이 가능하다.사람은 다섯가지의
감각
을 통해 신체 외부 세계와 교신한다. 청각 시각 촉각 후각 미각 중에서 그나마 어느정도 발달된 미디어가 있는 것은 청각과 시각뿐이다. 청각 또는 시각만으로도 지식을 전달할 수는 있으나 감정의 완벽한 ... ...
(3) 로봇원격조종 앉아서 심해·달 탐사 가능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하기에 고도의 숙련을 요구 한다. 여기에 원격존재 기술을 도입해 보통의 수술과 같은
감각
으로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가 이미 시작됐다.이것은 현재 급속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마이크로머신기술의 진보에 바탕한 것이다. 손의 동작을 미소한 매니퓰레이터에 전달하고 환부의 영상을 ... ...
(1) 컴퓨터로 인간 5감(五感)입력 가상공간을 현실로 느낀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것'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제함이 진정으로 가능하기 위해서는 인간이
감각
을 느끼는 메커니즘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절실하다.이어지는 2부와 3부에서는 VR 기술을 응용분야별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 ...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생각할 수 없고 땅이 없는 지진은 있을 수 없다. 물결파나 지진파는 눈으로 보이고
감각
으로 느낄수 있으니까 분명해 보이지만 공기는 눈에 보이지 않아 과연 공기가 없어도 소리가 들릴 것인지는 선뜻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러나 간단한 실험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작은 종을 넣고 밀봉한 ... ...
생물 - 수정란 1개의 무한한 잠재력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등의 상피가 생기며, 중배엽에서는 근육 골격 순환기 생식기 등이, 외배엽에서는 신경계
감각
기 피부 털 손톱 등이 생긴다.수정란이 발생하여 어린아이로 되는 데는 평균 41회(${2}^{41}$=2.2×${10}^{12}$)의 체세포 분열이 일어난다. 자라면서 이보다 더 많은 분열이 일어나 어른의 경우 약 60조개의 세포를 ... ...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지각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신경계의 결손기능을 전자장치로 대행시키는 기술이
감각
신경보철이다. 주된 연구분야는 시각 및 청각장애이다. 망막과 시각피질시각은 눈에 들어오는 광선자극에서 비롯된다. 인간의 시각체계는 광학계통 망막 시각통로의 세단계로 나눌 수 있다. 광학계통은 눈의 ...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돌기물(측포)을 내어 성페로몬을 분비하는데, 수컷은 촉각으로 이 물질을 매우 예민하게
감각
하여 암컷에게 접근하여 교미하려고 한다. 또한 측포를 문지른 거름종이를 가까이 가져가도 수컷은 암컷을 대하는 것과 같은 반응을 나타낸다. 브테난트(Butenandt : 독일, 1939년 노벨 화학상 수상)는 누에의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현상해보면 곧 알게 될 것이다. 왜 그런 것일까?천체사진의 의미인간은 '눈'이라고 하는
감각
기관을 가지고 있어서 사물을 볼 수 있지만 그것을 기록하여 보관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런 필요에 의해 카메라가 발명되었고, 카메라는 기록의 보존과 전달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도구다. 눈에 보이는 ... ...
안정동위원소 이용한 석유탐사 새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지화학적 접근 추세는 대체로 3단계로 발전해 왔다. 초기(1930-1960년)는 전통적으로 사람의
감각
에 의존, 유전에서 유출되는 석유를 직접 확인하거나 유출물의 부근 지역을 집중적으로 시추해서 발견한 경우다. 한때 세계 최대규모이던 베네수엘라의 보리바연안 유전을 포함, 약 50%의 대규모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