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느낌
감촉
센스
인지
직감
지각
감응
d라이브러리
"
감각
"(으)로 총 1,555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 뉴로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결합된다면 더 말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바이오컴퓨터는 그 세번째 목표를, 즉 인간의
감각
을 기계에게 고스란히 옮기기 위해서 출현했다. 비록 각 연구자의 머리에 새겨진 미래의 바이오 컴퓨터 그림은 모두 다르겠지만.바이오컴퓨터가 널리 쓰이게 된다면 그 맛있는 칩의 속살을 먹기 위해서 ... ...
원격조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센서, 인간 손의 촉감을 대신하는 촉각압력센서를 들 수 있다. 인간은 이런 다양한
감각
들을 동시에 고속처리할 수 있으나 로봇은 아직 그런 계산처리에는 매우 뒤떨어져 있다.최근 전통적인 논리가 아닌 인간의 추론을 모방한 퍼지, 신경망이론 그리고 혼돈이론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이를 로봇 ... ...
무인 자동차의「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눈으로 보고 몸으로 느껴 자동차를 여하히 제어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인간의 두뇌와
감각
중추계통을 이용하면 방금 말한 기능을 알맞게 그리고 착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교통의 흐름속에서 뜻하지 않은 사태가 일어나는 속도보다 인간의 반응속도가 늦는 경우가 많다. 운전자가 위험에 ... ...
롤러코스터의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또 롤러코스터에 분명히 작용하긴 하지만 탑승자가 선로여행을 하고 있을 동안 느끼는
감각
(예컨대 두려움 붕 뜨는 느낌 만족감 등)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힘도 있다. 그것은 열차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인데 여기에는 마찰력과 바람에 의한 항력(抗力)등이 있다. 그중 마찰력은 선로 위에서 ... ...
색채과학의 르네상스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한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관찰자는 외계로부터 주어지는
감각
데이터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처리한 결과를 알 뿐이다."앞에서 말한대로 사람의 시각은 뇌에서 생긴다. 따라서 시각을 관장하는 대뇌피질에 대한 비밀이 밝혀져야 색채에 대한 인간의 생리적 심리적 ... ...
코뿔소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죽을 때까지 자란다. 이 뿔은 싸움을 하다 빠지면 다시 생긴다. 주둥이는 보통 연하고
감각
이 뛰어나 먹이를 가릴 수 있다. 또 흰 코뿔소를 제외한 모든 종(種)은 주둥이 끝이 손톱과 같이 튀어나와서, 작은 풀을 뜯어 먹을 수있다. 후각이 예민해 냄새를 잘 맡고, 청각도 뛰어나다. 반면 눈은 작고 ... ...
2. 동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연구는 수행할 수 없었다.우주에서의 단기적응은 일반적으로 전정기와 시각계와 같은
감각
기관에 의해 조정을 받는다. 이러한 고도로 특수화된 '정보수용기'들은 외부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신경계를 이용, 적절한 명령을 근육이나 생식선 또는 그밖의 기관에 전달한다. 이러한 결과로 생리적 ... ...
3.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를 가진 분화된 식물세포-평형세포(statocyte)-가 식물세포의 중력감지 메커니즘의 첫번째
감각
기(sensor)일 것으로 생각했다. 이 세포 소기관은 평형세포 내에서 중력에 의해 쉽게 물리적인 자리바꿈을 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최근 녹말입자가 결여된 돌연변이식물이 분리됐는데 이 식물은 ... ...
낮과 밤의 리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잡초가 무섭도록 자라는데 그 이유는 햇빛의 4분의 1초 조사만으로도 잡초씨에 있는 광선
감각
기관을 자극시키고 발아를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쟁기가 흙을 일구고 지나갈 때 잡초는 다시 밑을 일구기 전까지 잠깐 노출되는데 그렇지만 이 잠깐이 충분한 것이다. 그러나 농부들이 밤중에 밭을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가장 발달된 것이 안점이다. 대개 1~15쌍 정도를 갖고 있는데 광
감각
세포를 갖춘 간단한 구조에서 부터 인간의 눈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것까지 매우 다양하다.연안의 바위 벼랑 아래에는 남색꽃갯지렁이(Sabellastarte indica, 사진6) 접박이꽃갯지렁이(Sabellastrarte zebuensis, 사진7) 등이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