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감각"(으)로 총 1,555건 검색되었습니다.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과학동아 l1992년 08호
- 되어있고 꾸불꾸불하게 주름이 진 대뇌피질이 감싸고 있다. 대뇌피질은 여러가지 감각과 지능 기억 사고 행동 등을 관장하는데 현대 생리학은 아직도 이런 뇌의 완전한 기능과 뇌의 어느부분에서 어떤 일을 관장하는가는 아직 다 밝혀지지 않고 있다.현재의 연구가 성공한다면 아마도 2010년 경에는 ... ...
- 머리좋은 생물들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이 뇌는 두가지 측면에서 우리 두뇌처럼 활동한다. 첫째, 두족류의 두뇌는 정확한 평형감각기관과 연결되었는데 하나는 중력, 또 하나는 각가속도를 감지해서 오징어나 문어가 복잡한 기동력을 발휘할수 있도록 해준다. 둘째, 두족류의 눈은 우리의 눈과 똑같지는 않지만 매우 유사하게도 영상을 ...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과학동아 l1992년 07호
- 감각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증거는 아직 하나도 없다. 그러나 이점이 확인된다면 인간의 감각능력에 대한 신비를 푸는 연구가 새로운 장을 맞을 것으로 박사는 기대하고 있다 ... ...
- "환지(幻肢)현상은 뇌신경 때문"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신경망은 태어날 때부터 선천적으로 구성돼 있다고 본다.환시(幻視)나 환청(幻廳)도 뇌가 감각계로부터 정상적인 입력을 잃어버렸을 때 생기는 데, 입력 데이터가 없어도 중추신경계의 세포는 스스로 활동하고, 뇌는 이러한 신경활동을 의미있는 경험으로 받아들인다는 논리다 ... ...
- (1) 인간 오감(五感)을 기계에 이식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우주를 항해하는 것과 똑같은 느낌을 얻을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기술을 통해 인간의 감각기관이 총체적으로 구현하는 인식작용을 만족시켜 가상의 현실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눈치빠른 사람이라면 벌써 멀티미디어의 핵심이 '인간과 기계의 대화' 즉 상호작용(interaction)에 있음을 발견했을 것이다 ... ...
- 시공을 뛰어넘는 원격체험 TE과학동아 l1992년 06호
- 당연한 예기다. 서로 눈에 보이지 않는 교류를 하면서 순간순간 대처해 나가는 공존감각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현재 미국 일본에서 연구중인 '현장감 통신회의'는 참가자들이 각기 입체영상안경과 손의 움직임을 검출해내기 위한 데이터장갑(data glove)을 끼고 원격지의 회의장에 참석, 신상품 ... ...
- 화면속에 뛰어들어 실제체험 느끼는 가상현실의 세계과학동아 l1992년 05호
- HDTV의 개발이 선행돼야 할 과제다.또한 '보행통로시스템'에서 소개한 인공적인 체성감각의 실현은 상당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 문제는 마치 사람을 닮은 로봇을 설계하는 것 만큼 접근하기가 어렵다. 사람의 손동작 등 복잡하고 섬세한 육체의 움직임을 기계적이고 디지털적인 요소로 ... ...
- 새기술 새발명과학동아 l1992년 05호
- 로봇에 비하면 한수 아래라는 얘기다. 이 로봇이 자전거를 타면서 보여주는 절묘한 균형감각의 비결은 '자이로 스타'(Gyro star)라는 3.5kg짜리 조그만 장치에 있다.만일 자전거를 탄 로봇이 왼쪽으로 기우뚱하면 자이로 스타는 그것을 잽싸게 감지해 마이크로컴퓨터에 그 사실을 알린다. 그러면 보고를 ... ...
- 아시모프의 삶과 꿈과학동아 l1992년 05호
- 쪽에서 원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자서전에서 그즈음의 생활을 묘사한 부분은 '감각적이고 호색적인 중년 남자'라는, 역시 아시모프 특유의 유머가 넘치는 작은 제목이 달려있다.아시모프는 1973년 자넷과 결혼한다. 신랑의 나이 53세, 그리고 신부 나이 47세였다. 두 사람은 17년전 어느 SF회합에서 ... ...
- (5) 초파리 연구, 진화의 비밀 밝혀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유전자(예컨대 개체의 발생에 필요한 유전자, 개체의 암수분화에 필요한 유전자, 신경 감각기관의 발달에 필요한 유전자)들을 초파리에서 찾아냈다. 이는 포유류에서 비슷한 기능을 가진 유전자들을 찾아내는데 이용되고 있다. 또한 학습과 기억에 관한 유전자를 추적하는 실험에도 이용된다.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