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남극 반도의 끝자락에 있어서 해양성기후를 갖고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바람 세기에 따라 체감온도는 더 낮을 수 있죠. 얼마 전 눈보라가 치던 날은 기온이 영하 12℃ 정도였지만, 바람이 불어서 체감온도가 영하 25℃까지 떨어지기도 했답니다.이도연 : 주로 어떤 음식을 드시나요?보통 ... ...
- 바이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남아 있었다. 좀 더 많은 바이러스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했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바이러스 구조에 관한 새로운 이론이 등장했다. 독일의 수리생물학자인 라이둔 트바로크는 2004년 바이러스 기하학에 대한 좀 더 일반적인 이론을 발표했다.트바로크는 두 가지 이상의 모양으로 ... ...
- [교육] 또 다른 세계,토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구 모양이라고 믿기 시작한건 훨씬 나중의 일이었다. 극지방과 일부 대륙의 중 심부는 19세기까지 지도로 그려지지 않았다. 남극과 북극을 포함한 모든 지역을 지도로 그리기 전까지는 지구가 구 모양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지구가 토러스 모양일 수도 있어서다.직사각형의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비해 10배나 증가했다. 2001년 9·11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이 선포됐지만, 이대로라면 21세기는 테러의 시대가 될지도 모른다. 특히 테러는 언제 어디서든,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무기로 개인과 공동체의 정신을 서서히 파괴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테러와 그로 인한 PTSD로부터 우리 모두를 ...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현 연세대) 수물과 설립 100돌을 맞아 다채로운 행사가 치러진 것이다.그런데 20세기 초 유명한 수학자라고 하면 힐베르트, 푸앵카레 등 줄줄이 서양 수학자만 떠오른다. 국내 수학자에 대해선 그만큼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대체 100년 전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수학자가 활약했을까? 일제강점기라는 ... ...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직전부터 내리기 시작한 직후까지 나는 흙냄새는 세계 어디서나 맡을 수 있어요. 19세기에 나온 오래된 광물책에도 비 냄새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을 만큼, 오랫동안 알려진 현상이지요. 하지만 왜 비 냄새가 나는지는 한참 동안 아무도 몰랐답니다. 1960년대에 들어선 후에야 비 냄새에 대한 과학적인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갈 것도 없이 중세 이후로도 인류의 폭력은 급감했다. 인구 10만 명 당 살해된 인구는 16세기에 100명 수준이었지만, 현대는 0.5명 수준으로 200분의 1로 줄었다. 지금 발생하는 테러와 피비린내 나는 복수들이 미디어를 통해 충격적으로 다가오기에 많아진 것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인류의 폭력성은 ... ...
- 물대포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경찰에는 살수차 운영지침이 있습니다. 그중 살수세기와 관련된 부분을 살펴보면, 시위대와의 거리가 10m 이내일 경우에는 3bar, 15m는 5bar, 20m는 7bar 내외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1bar는 1cm2 면적을 1kg으로 누르는 압력입니다. 손바닥 넓이가 64cm2 정도라고 가정하면, 손바닥 위에 2L ... ...
- Intro. 폭력과 테러 인류의 숙명일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범행으로, 평화롭던 도시는 끔찍한 폭력의 장으로 변했다. 문명과 이성의 세기라는 21세기에도 전쟁과 무차별적인 테러는 끊이지 않고 있다. 폭력은 인간의 본성인 걸까. 혹은 다른 이유가 있는 걸까. 진화학과 뇌과학의 시각으로 진단해 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폭력과 테러 인류의 ... ...
- 우리도 복돼지처럼 웃어보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수억 년에 걸쳐 생명체가 진화해온 과정을 담은 증거이기도 하다.➌ 파도바이오과학상(21세기생명과학문화재단이사장상) 중·고등학생부김수아(충북 산남고) 전자현미경해변의 모래사장으로 거친 파도가 몰려오고 있다. 밤 껍질 앞면의 매끄러운 부분과 거친 부분의 경계부분을 확대해 찍은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