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 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본질적으로 발명이란 없다. 여기에 단 한가지 예외가 있으니, 바로 미적분학이다. 17세기 두 천재가 발명한 미적분학을 통해 인류는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히고 현대의 다양한 사회현상까지 상세히 해석하고 예측해 왔다. 우리는 미적분학을 충분히 이해하고 활용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하지만 ...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됐다. 그 중심에 미분과 적분이 있었다.뉴턴과 라이프니츠, 일반적인 법칙을 정리하다17세기 유럽의 많은 수학자들은 각자 특별한 방법으로 미적분을 발전시키고 있었다. 1629년 현대적 의미의 미분에 대한 아이디어를 최초로 떠올린 사람은 프랑스의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였다. 독일의 수학자이자 ...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훨씬 이전인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미분과는 별개의 학문으로 발달했다. 그런데 17세기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미적분학을 정립한 뒤, 적분은 결국 미분의 역연산과 같다는 ‘미적분학의 기본정리’가 발표되면서 적분이 미분의 하위 개념으로 간주되기 시작했다. 가령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 ...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포도를 발효시킬 때 사용한 효모를 제거해줘야 하는데 이런 기술은 파스퇴르가 등장한 19세기에 나타났다.파스퇴르는 어느날 와인 맛이 변질되는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파스퇴르는 효모를 비롯한 다른 미생물이 와인을 상하게 한다는 사실을 알아챘다. 그는 60℃ 정도의 저온에서 ... ...
-
- [Knowledge] 금속 유물에 숨결을 불어넣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단단한 진흙 안에 흩어져 있었습니다. “경기도 화성에서 2014년 발굴된, 백제 초기(약 5세기)의 식리(신발)입니다. 금동으로 만든 것인데, 부식이 된 상태죠.” 권혁남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학예연구사가 말했습니다. “금속이 강한 재료니까 금속 유물도 오래 갈 것 같죠? 절대 안 ...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운동을 미분방정식으로 적었다. 18세기가 되자 오일러, 달랑베르, 베르누이 등 걸출한 과학자들이 탄성계의 운동을 편미분방정식으로 표현했다.편미분방정식의 중요성은 날로 커졌다.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이 세운 전자기 ... ...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건축가 리처드 벅민스터 풀러가 선보인 ‘지오데식 돔’을 떠올렸다. 만국박람회는 19세기의 산업 경쟁이 본격화되던 시기에 세계 각국의 중요한 산물을 모아 진열하고 새로운 산업 기술의 성과와 문화를 겨루던 국제박람회다. 당시 풀러는 적은 재료로 큰 공간을 만들 수 있는 건축 구조를 만들기 ... ...
-
- 가우디 그의 생각을 엿보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개인 최다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작품 등재1984년 유네스코는 가우디의 건축물이 19세기 건축의 발전에 미친 영향과 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인정해 카사 밀라와 구엘 저택, 구엘 공원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했다. 2005년에는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파사드와 지하 예배당, 카사 비센스, 콜리니아 구엘 ... ...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현상금은 최고급 포도주 600병!모사사우루스의 존재가 처음 확인된 것은 18세기 중반, 유럽에서였다. 1764년, 다양한 해양생물의 화석이 발견되던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 지역의 한 백악(白堊) 채석장에서 거대한 머리뼈 화석이 발견됐다. 이 화석을 연구한 과학자 마르티누스 판 마룸은 이 거대한 ...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지구형 행성이 실제로 많이 있다고 해도 아직은 외계행성까지 가긴 어렵다. 하지만 수세기 동안 그래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천문학은 더욱 발전할 것이고, 그에 따른 과학기술 역시 제자리에 멈춰 서 있지는 않을 것이다. 언젠가 아주 먼 미래엔 인류가 ‘제2의 지구’ 땅을 밟게 되는 날이 오지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