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것이다. ‘계산해 보자’고 하면 될 일이다.”중세 암흑기를 벗어나 이성이 꽃을 피운 17세기.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는 사상을 전개하는 데 일상에서 쓰는 말보다 수학 같은 추상적인 기호가 더 낫다고 여겼다. 특히 단어를 기호로 바꾸는 수준을 넘어 기호를 조합해 새로운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과정, 단백질을 위 안에서 산과 효소의 작용으로 잘게 부수는 과정이 대표적이다.20세기의 식품공학자들은 이런 분해 반응을 식품 산업에 응용할 방법을 연구했다. 대표적으로 흔히 ‘발효’라고 부르는 식품 가공 공정이 있다. 식품 미생물이 식재료 속 단백질이나 탄수화물을 효소로 분해해 잘게 ...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일반상대성이론을 위하여’에서 제안한 이론을 기반으로, 수성 근일점의 세차운동이 1세기 동안 43초라고 계산한 논문이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의 계산은 자신이 제안한 방정식을 완전히 풀어낸 결과가 아니었다. 사실 그 방정식은 풀기가 매우 어려웠다. 아인슈타인은 방정식의 풀이를 온전히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달라진 다. 전등에서 나오는 빛도 마찬가지다. 전구의 저항 값을 조절하면 원하는 빛의 세기를 마음대로 정할 수 있 다(고 우린 믿는다).그런데 플랑크가 제안한 새로운 에너지 공식에 따 르면, 빛의 에너지는 진동수와 플랑크상수를 곱한 값 의 정확히 정수배만 될 수 있다. 하지만 정수배 사이 의 ... ...
- “세계 과학기자의 통찰력을 확인하는 자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수 없습니다.한-중 국경에 위치한 백두산은 한국 역사에서 민족의 성지입니다. 그런데 10세기 경에 있었던 백두산 화산 분출이 지난 1만 년을 통틀어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규모였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환태평양 화산대에서 멀리 떨어진 화산이 어떻게 그렇게 큰 파급력을 가지고 있는가는 아직도 ... ...
- [지식] 무엇이든 붙여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이스트만910’이라는 이름을 붙여 제품으로 출시했다. 사용하는 사람이 1부터 초를 세기 시작해, 10초면 모든 것이 달라붙어서 붙은 이름이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떨어진 컵 손잡이도, 밑창이 떨어진 구두도 이 접착제만 있으면 10초 안에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왔다.이렇게 탄생한 접착제는 ... ...
-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않았다. 보이니치 문서가 분야마다 특정한 주제를 가지고 쓰였다는 증거다.일각에서는 13세기 당시 연금술사들이 노하우를 정리해 놓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다른 사람들이 이 책을 손에 넣어도 비법을 절대 훔칠 수 없도록 자기들만 알아볼 수 있는 암호를 정해 기록했다는 것이다. 수학적으로 ...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인도의 커리는 묽은 국물에 가깝습니다. 끈적한 커리, 카레의 고향은 일본입니다. 19세기말 일본은 영국의 모든 걸 닮고 싶어 했습니다. 영국 사람이 즐겨 먹는 커리도 마찬가지였죠. 그런데 묽은 커리는 일본사람이 주로 먹는 밥과 어울리지 않았습니다. 한 요리사가 묽은 커리에 밀가루를 섞어 ... ...
-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우리 애들을 대한민국 최고의 스타로 만들 수 있을까요?로마의 철학자 보에티우스가 6세기 초에 쓴 책 에 따르면, 기원전 500년경 피타고라스학파는 진동수의 비를 정수로 나타낼 수 있는 소리가 서로 어울린다는 것을 알아냈다. 피타고라스는 진동수의 비가 2:3인 음이 함께 울릴 때 ... ...
- [생활] 메럴 카르호프 솔솔 부는 바람으로, 술술 작품 만들다 !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유학을 가서 ‘프레스코화’를 공부했다. 프레스코란 벽화로 그리는 방법의 하나로, 16세기의 유명한 화가 미켈란젤로가 그린 ‘천지창조’가 대표적 프레스코화다.다시 네덜란드로 돌아와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디자인 학교인 디자인 아카데미 아인트호벤을 다녔다. 졸업과 동시에 자신의 이름을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