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삼척동자와 도량형과학동아 l2009년 10호
- 30.303cm이다. 또 넓이 단위인 1보(=1평)는 약 3.3m2이며 들이 단위인 1홉은 180.39c㎥이고, 무게 단위인 1근은 600g이다.이와 같은 길이를 근거로 삼척동자의 키는 3척, 즉 3자이므로 약 90.909cm이다. 또 거재두량에서의 두는 1말이고 1말은 100홉인 1만 8039c㎥로 약 18L가 된다. ...
- 꽃의 여왕, 장미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색의 비밀장미는 꽃송이가 작을 때 색이 더 진해 보여요. 장미가 크면 꽃잎이 넓어져, 단위 면적 당색소의 밀도가 작아지거든요. 또 다른 비밀은 꽃잎의 굴곡에 있어요. 자세히 보면 장미의 꽃잎에는 울퉁불퉁한 굴곡이 있어요. 작은 장미가 진해 보이는 건 여기에 그림자가 지기 때문인데, ...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수학동아 l2009년 10호
- 파스칼은 확률 이론의 기틀을 세웠다. 물리학에서도 업적을 남겨 현재 압력을 나타내는 단위에 이름이 들어가는 영광을 누리기도 했다. 파스칼 역시 수학에 푹 빠져 있었는데, 머리가 아프면 수학 문제를 풀어 머리를 식혔다고 한다! 파스칼에게는 수학이 두통약이었나 보다.수학은 몸으로 느끼는 ... ...
- 걸리버 여행기수학동아 l2009년 10호
- 것은 당시 영국에서 12진법을 많이 쓰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12진법은 아직 영국에서 쓰는 단위에 흔적이 남아 있지요. 예를 들어, 1피트(약 30cm)는 12인치(약 2.54cm)랍니다.거인의 음악은 너무 시끄러워? 음악을 좋아하는 국왕은 자주 연주회를 열었다. 가끔씩 나도 초청을 받았다. 탁자 위에 상자를 ...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아주 작은’ RNA를 말한다. RNA, DNA 사슬을 이루는 기본 단위인 뉴클레오티드 20~22개가 항상 두 가닥으로 어긋나게 붙어 있는 마이크로RNA는 한쪽 끝에 뉴클레오티드가 2개씩 튀어나와 있다.마이크로RNA는 염기 4개(아데닌, 구아닌, 시토신, 우라실)로 이뤄져 있지만 단백질을 ... ...
-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왜소은하는 우리은하처럼 큰 은하를 이루는 구성단위로 추정되고 있다. 즉 왜소은하가 합쳐져 큰 은하가 만들어진다는 시나리오다. 지구에서 3억 21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코마(Coma)은하단에는 여전히 왜소은하 수천 개가 분포해 있다. 우리은하만 보더라도 ...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만한 이들의 주된 업무는 바로 ‘형태소 분석’이다. 형태소란 뜻을 가진 가장 작은 언어 단위다.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게 명사나 동사 같은 글자의 덩어리다. 바로 이 덩어리를 빚어 누리꾼이 원할 만한 결과들을 미리 준비하는 게 이들의 임무다. 같은 팀의 이대연 선임연구원은 “지금은 ...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잡고 풍선 카테터를 넣는다. 주사기 피스톤을 천천히 누르면서 혈관의 크기에 따라 mm 단위로 풍선을 부풀려 막힌 혈관을 넓힌다. 그 뒤 철로 만든 작은 그물(스텐트)을 설치하면 혈관을 확장한 대로 유지할 수 있다.하지만 풍선혈관확장술에는 한계가 있다. 넓어진 혈관이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 ...
- 나를 말해주는 손가락과학동아 l2009년 10호
- 펴보자. 그리고 자를 이용해 두 번째 손가락인 검지와 네 번째 손가락인 약지의 길이를 mm 단위까지 정확하게 재보자. 길이는 손바닥과 손가락이 만나는 주름에서부터 손가락 끝까지 재는데, 주름이 두 개면 아래쪽 주름부터 재면 된다. 손바닥 사진을 찍거나, 복사기에 손바닥을 복사해서 재보면 ... ...
- 지구온난화의 원인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대기 중에 있는 질소를 고정하는 방법을 개발한 후, 질소 비료는 거름을 대신하게 됐고 대단위 농업을 가능하게 했다. 농장에 뿌려진 질소 비료 중 일부는 대기의 산소와 반응해 산화질소가 됐다. 산화질소는 기권으로 이동해 대기 중 산화질소의 농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인간은 풍부해진 농산물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