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481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오(庚午)년을 달리는 에쿠우스 말
과학동아
l
199001
약간씩 다른 이유는 왜일까. 많은 학자들은 줄무늬의 차이를 통해 자신들의 동족을
구별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얼룩무늬가 눈을 속이는 위장의(衣) 구실을 담당, 적에게 잘 발각되지 않게 한다는 학설도 있다.아프리카의 초원에서 얼룩말은 가끔 '투명동물'이 된다. 아지랭이가 피어오르고 2백~ ... ...
바이오에틱스, 마침내 수면 위로
과학동아
l
199001
이 방법은 불임부부가 유전적으로는 완벽한 부모가 된다는 점이 과거의 대리모방식과
구별
된다.종래에는 남자가 대리모와 직접 접촉을 갖는 경우(원래 의미의 씨받이)와 남자의 채취된 정자를 대리모에 인공수정시켜 임신시키는 경우가 전부였다.이같은 방식의 차이는 생물학적으로만 볼 때 ... ...
빛이 만들어 내는 찬란함 색체
과학동아
l
198912
교통신호등의 경우 색의 혼동은 대형사고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명확이
구별
할 필요가 있다. 표준 연구소에서는 신호등의 색이 규격범위내에 들어오는지를 측정하고 있다. 선박에 부착되는 항해등은 국제규격에 합치되어야 한다. 국제규격에 맞는 항해등을 국산화하는 연구를 지원하며 ... ...
생체아교로 상처를 말끔하게
과학동아
l
198912
매우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단 TG가 붙어야 하는 피부의 기질들을
구별
해 내야 하고, TG를 너무 많이 주입하면 피부가 거칠어지는 역기능을 배제시킨다는 전제 아래서 ... ...
PARTⅢ 리액터 REACTOR
과학동아
l
198912
부착시키는 '고정화'(immobilization) 기술이 개발되면서부터 이러한 발효 및 효소반응기의
구별
이 무의미해지고 있는 것이다.일반적으로 세포를 대상으로 하는 발효바이오리액터를 약간 개량하면 효소바이오리액터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바이로리액터 개발 노력이 발효반응기를 중심으로 ... ...
사마귀 치료, 냉동요법시대로
과학동아
l
198911
척추균형의 이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그런데 이 족저사마귀는 티눈과
구별
하기 어렵다. 식별해 내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돌출부위에 핏줄이 있는지의 여부를 살피는 것이다. 즉 실핏줄이 보이면 사마귀, 안보이면 티눈이다. 문제 부위를 소독된 칼로 살짝 베 보면 사마귀인 경우에는 ... ...
국제원자력기구(IAEA) 의장으로 선출된 정근모 박사
과학동아
l
198911
있는 반원전운동을 다소 극성스럽다고 보시는지요?"반공해 반핵무기 반원전운동을
구별
해야 합니다. 반공해운동은 공기 물 토양의 질을 인간의 건강과 복지에 맞도록 유지하자는 운동이므로 저도 찬성해요. 그리고 반핵무기운동에도 동조합니다. 그러나 반원전운동에는 반대해요. 반공해와 ... ...
눈치빠른 원숭이
과학동아
l
198911
그 이상의 발전을 하지 못했다.파블로프는 원숭이류가 아직도 몸에 털이 많고 손과 발의
구별
이 없으며 안면각이 작은 것을 보면 원숭이는 원숭이에 지나지 않는다고 했다.그렇지만 그들의 생태나 행동을 유심히 관찰하여 보면 흥미로운 것이 한둘이 아니다.원숭이는 대개가 무리를 지어 생활을 ... ...
문제 투성이의 학습자료와 학습방법 흥미있는 지구과학이 지루한 과목으로…
과학동아
l
198911
무시해버리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현대과학의 이러한 경향은 점차 각각의 고유영역의
구별
이 모호하게 되고 상호 통합적인 것으로 나아가고 있다. 생화학, 물리화학, 지구물리 등)여기서 지구과학은 각각의 연구분야에 있어서 어떤 연관을 갖는 것일까. '통합적'이라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일 것이다.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10
산이다.제4기 화산활동이 백두산의 밑바닥을 이루는 제3기 현무암들의 화산활동과
구별
되는 점은, 폭발력이 큰 산성용암을 분출한 점이다. 산성용암의 두께는 약 6백50m이다.(그림2)이런 산성 마그마는 점성이 크고 멀리 흘러 내리지 못하여 화구(火口) 가까이에 층층이 뭉쳐 쌓여 두꺼워지면서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