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오토매틱 잠수함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때까지 반복된다.이처럼 잠수함의 운동은 물에 대한 상대적인
밀도
에 좌우된다. 즉
밀도
가 물보다 작으면 뜨고, 크면 가라앉는다.구연산의 분자량은 210이고 탄산수소나트륨의 분자량은 84이다. 1몰의 구연산은 3몰의 탄산수소나트륨과 반응을 하므로 반응이 잘 일어나는 구연산과 탄산수소나트륨의 ... ...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지상으로 나올 때 대기와의 마찰로 인한 충격을 줄이기 위해 마지막 1백km는 차츰 공기의
밀도
를 높이는 적응구간을 둔다.20세기 말 마스크가 상상했던 우주열차는 21세기에 들어서 초전도현상이 발견됨에 따라 실용화됐다. 오늘 우주역에 들어선 사람들은 좌석 앞에 꽂혀있는 ‘20세기 우주여행 ... ...
탐구학습현장, 수영장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구명재킷은 무게는 조금 늘어나는 반면 부피는 많이 늘어나도록 한다. 즉 사람 전체의
밀도
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물 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막아준다.③ 물 속에서는 천하장사물 속에 들어가면 왠지 몸이 가벼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실제로 물 속에 잠긴 사람의 체중은 공기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크기 때문이다. 레고 조각의
밀도
는 기름보다 작으므로 기름 위에 뜨고 나사못은 물보다
밀도
가 커서 물 아래로 가라앉는다. 기름의 점성으로 인해 얼음이 기름 위에 뜨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막대로 밀어 넣어 본다. 한번 기름 아래로 내려간 얼음은 다시 위로 올라오지 않는다.② 페트병의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반응이 계속 일어나 철과 같은 무거운 원소들이 중심핵을 이루며 물질을 끌어당긴다. 고
밀도
의 중심핵에는 더욱 강한 중력이 작용해 크기는 다시 더 줄어들게 된다. 중력 수축이 더욱 급격하게 일어나면 바깥의 가벼운 물질들이 중심을 향해 매우 빠른 속도로 떨어진다. 이 때 충격파를 발생시키고 ... ...
Ⅰ.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있었음을 암시한다.(f) 가스행성과 얼음행성, 그리고 이들 행성의 큰 위성들은 평균
밀도
가 물의 2배(2g/cm³)보다 적고, 이들 표면은 두꺼운 얼음층으로 이루어졌다.(g) 소행성과 비슷한 작은 천체들이 해왕성 바깥 30AU-1백AU 사이에 있는 납작한 카이퍼벨트 내에 많이 분포한다.(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 ...
공동묘지의 도깨비불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여러 가지 이상한 모양으로 찌그러지기도 하고 나누어지기도 한다. 먼 곳의 불빛이
밀도
가 다른 대기층을 통과하면서 불규칙하게 굴절돼 도깨비불로 보인다는 것이다.아직 어느 이론도 완벽하지는 않지만, 도깨비불의 정체는 미구에 밝혀질 것이다. 그러나 도깨비까지 사라지지 말았으면 하는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때문에 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매우 독특하다.우선 물은 다른 물질과 비교할 때
밀도
가 대단히 크고, 어는점과 끓는점도 매우 높은 편이다. 이런 성질은 물분자들이 서로 가깝게 뭉쳐있는 것을 아주 좋아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화학적으로는 물분자들 사이의 비교적 강한 수소결합 때문이라고 ... ...
자기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약해져 온도가 약간만 올라가도 자석의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실제로 이 정도의 기록
밀도
에서 동작하는 HDD 내부 온도는 약 1백℃까지 올라가게 돼 매우 난감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작은 크기에서도 안정성이 좋은 영구자석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 자기기록의 미래에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 ...
Ⅲ. 키 큰 나무에서 배우 고층 건축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이루어져 있는지 안을 들여다본다. 인간의 하늘을 향한 상승욕구와 도심지의 인구
밀도
증가로 인해 자연스럽게 건물은 수직적으로 상승한다. 특히 서울과 같이 제한된 땅에서 고층 건물을 짓는 것은 경제적일 뿐 아니라 시대의 축적된 부를 과시하는 상징이기도 하다. 또한 인간은 종교적인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