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율"(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이용해 한 가지 무늬로 새로운 무늬를 만들어 봅니다. 6학년 때는 두 양 사이의 비와 비율의 의미와 비례식을 이해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중학교 때는 본격적으로 함수의 개념에 대해 공부합니다. 순서쌍과 좌표를 이해하고 함수를 표와 식, 그래프로 나타내는 연습을 합니다.규칙, 왜 ... ...
- 도로 사용설명서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적힌 숫자는 자칫 각도로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경사도는 수평거리에 대 한 수직높이의 비율을 %로 나타낸다. 그림처럼 수평으로 d 거리만큼갈 동안 h 만큼 올라가는 도로라면 경사도는 (h÷d)×100(%)다. 예를 들어 수평으로 100m 가는 동안 10m 높아지는 도로의 경사도는 10%다. 우리나라 도로의 최대 ... ...
- ‘바이러스’의 두 가지 정의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화성에서 풍선은 지구에서와 마찬가지로 확산으로 인해 풍선 속과 안의 기체 입자 비율이 같아진다. 그리고 풍선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서서히 가라앉는다. 수학 Q1. [정교성] A, B학교에서 각각 2명, C, D학교에서 각각 3명, E, F학교에서 각각 4명, G학교에서 5명으로 모두 23명의 학생들이 수학 ... ...
-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좋을지 생각해봅니다. 라서 K-N/K값은 K에 대한 개체군 생장에서 여유가 있는 부분의 비율을 나타낸다. 이 요인을 모델에 반영하면 S자형 생장곡선에 대한 수리적 모델은 다음과 같다. 4. [난이도 중] 개체군의 생장을 저해하는 환경 요소중 크게 세 가지를 들자면 자원과 공간에 대한 경쟁, 질병, ...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말한다.가장 ‘다국적인’ 바다는 지중해와 대서양, 그리고 발틱해였다. 외래종의 비율은 지중해가 4%로 가장 높았다. 다음이 대서양(2%), 발틱해(2%) 순이었다. 가장 많이 유입되고 있는 생물종은 연체류(26.7%), 갑각류(22.0%), 어류(20.3%)였다. 외래종이 유입되는 가장 큰 원인은 선박의 이동이다. 선박은 ... ...
- 작지만 강한 이자율의 위력수학동아 l2010년 09호
- 기준금리를 0.25% 올려서 신문과 방송에서 커다란 뉴스가 됐어요.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가리키는 이자율을 겨우 0.25% 올린 것뿐인데 왜 그리 호들갑이었을까요? 이유는 이자율이 돈의 가치와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기준금리는 이자율을 움직이는 핵심 열쇠랍니다. 오늘은 채권과 이자율 ... ...
- 에너지 ‘1등급’ 오랑우탄의 말 못할 속사정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산화중수소를 섞은 음료수를 먹이고 내뱉는 숨에서 수소와 산소 동위원소의 비율을 분석해 칼로리 소비량을 알아냈다. 또 안정시대사량(RMR)을 측정하고 소변을 채집했다. 실험 결과 오랑우탄은 몸에 비해 음식을 적게 섭취할 뿐 아니라 에너지를 적게 썼다. 연구진은 오랑우탄이 포유류 중 가장 높은 ...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과학동아 l2010년 09호
- 14N으로 붕괴하기 때문에 화석(예외적으로 저희 같은 생명체)의 탄소에서 14C가 차지하는 비율을 알면 그 화석의 연대를 추정할 수 있죠. 저희 경우 씨앗 두 개를 갖고 연대측정을 했는데 하나는 650년 전, 하나는 760년 전이라고 나왔습니다.그런데 과피가 그렇게 딱딱하다면 자연상태에서 어떻게 싹이 ... ...
-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수도 있다. 다른 나라의 상황은 어떨까. 세계의 헬륨 매장량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20%다. 미국 토지관리국(BLM)에 따르면 카타르의 헬륨 매장량이 약 100억m3, 알제리가 약 84억m3다. 미국의 매장량은 약 83억m3다. 이어서 러시아의 매장량이 약 67억m3, 캐나다와 중국은 각각 약 20억m3, 약 10억m ...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비결이다.반도체마다 고유한 파장을 내는 빛이 나오기 때문에 원소들을 결합할 때 비율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빛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래서 화합물반도체로 만든 LED로는 빨강, 초록, 파랑의 삼원색 외에도 수많은 색깔의 가시광선과 적외선, 자외선 같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연출할 수 있다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