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율"(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진과 쓰나미 속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전국 공공시설의 18.4%, 학교 건물의 13.2%만 내진 설계가 돼 있는 등, 아직 내진 설계 비율이 낮아요. 게다가 3층 이하의 낮은 건물이 지진에 더 약한데, 낮은 건물일수록 내진 설계가 거의 돼 있지 않아요.그래서 소방방재청과 국토해양부 등은 1층이나 2층 짜리 건물에도 내진 설계를 하거나 내진 ... ...
- 사건파일 1 공룡뼈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이용하면 공룡이 얼마나 똑똑했는지도 알 수 있어. 몸 전체의 부피와 뇌의 부피의 비율을 살펴보는 거지. 예전에는 머리뼈 구조에 모래를 채워서 뇌의 부피를 구했어. 최근에는 컴퓨터단층촬영장치(CT)로 뇌 공간의 부피를 쉽게 구하지. 일반적으로 몸 전체의 부피와 비교해서 뇌의 부피가 크다면 ... ...
- 사건파일 3 공룡폭행사건수학동아 l2010년 06호
- 간만에 여유로운 오후를 즐기던 매스, 아니나 다를까 갑작스런 호출로 맥이 풀려 버린다. 이번엔 공룡 사이에 벌어진 다툼의 해결사로 출동이다. 싸움의 재구성 : 육식공룡 vs 초식공룡 어이구, 다 큰 공룡끼리 싸움이라니. 둘 다 많이 다친 것 같군. 그래도 해결사로 날 불렀으니 싸움을 빠르게 되 ... ...
- 수익과 위험의 시소게임수학동아 l2010년 06호
- 빼면 투자로 번 돈이 나옵니다. 이를 다시 처음 투자한 금액으로 나누면 수익의 비율, 즉 투자수익률이 되지요. 투자수익률이 높으면 돈을 많이 번 것이고, 0이라면 수익이 없는 것이며, 음수가 되면 오히려 손해를 본 것이랍니다.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한 경우, 수익률을 높이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수선 등의 기하학적 대상이 곳곳에 나타나 있습니다. 예술가는 자신의 작품세계를 선, 비율, 다양한 각도와 형태로 표현합니다.예술작품과 실생활 속 대상을 보며 학생들은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위해 이러한 형태로 각과 선을 표현했음을 알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수학적 사고와 계산도 하게 ... ...
- PARTⅠ 수학을 알아야 축구를 잘 한다 : 축구는 수학이다수학동아 l2010년 06호
- 패스 방향, 드리블 방향 등을 기록한다. 이렇게 기록한 내용의 평균을 계산하거나 비율로 나타내 한눈에 어느 팀이나 선수의 특성을 볼 수 있다.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까지만 해도 외국에서 벌어지는 경기를 지금처럼 쉽게 볼 수 없었다. 그래서 월드컵에 나가도 상대팀의 전술에 미처 대응하지 ... ...
- 소수의 새로운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6호
- 나타납니다. 연구팀은 모든 소수의 각 자릿수의 합이 홀수와 짝수가 평균적으로 같은 비율로 나온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 결과는 수열의 규칙성을 밝히거나 디지털 방식으로 재해석해서 암호 분야 등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 ...
- 선거제도 수학으로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0년 06호
- 국회의원선거에서 각 당이 얻은 득표 비율에 따라 국회의원 의석을 나눈다. 득표 비율은 각 정당의 득표수를 모든 정당의 득표수로 나누어 구한다. 이때 투표수의 3%를 득표한 정당이나 지역구 국회의원선거에서 5석 이상 의석을 차지한 각 정당만이 의석수를 갖는다. 의석을 나누고 나면 정당별로 ...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비율로 섞어 콘크리트를 만들지만, 초고층 빌딩에 쓰이는 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 비율이 1대 5정도나 된다. 우리나라 기술팀은 고강도 콘크리트가 빨리 굳게 하기 위해 시멘트와 물이 빨리 반응하도록 돕는 조강물질을 넣었다. 이 조강물질 덕분에 콘크리트가 10시간이면 단단하게 굳어서 3일에 ... ...
-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두 장의 꽃잎과의 평균 거리를 구하면 0.618과 0.382로 나눌 수 있어요. 바로 가장 아름다운 비율이라 불리는 ‘황금비’랍니다. 장미꽃이나 국화에서도 확인해 보세요.아! 저기 날아가는 민들레 씨앗이 보이나요? 노랗게 핀 꽃과 후~ 불면 사방으로 날아가는 씨앗으로 유명한 식물이 바로 민들레죠.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