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스페셜
"
날
"(으)로 총 1,4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입으로 불러 주기는 하지만 정확도는 현저하게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날
씨가 좋지 않은
날
은 잡음이 많아 잘못 받아 적는 경우도 있다. ● 바닷속 추락하면 ‘블랙박스’로 초음파 신호 보내 항공기는 추락에 대비해 구조신호를 보내는 장치도 달고 있다. ELT(Emergency Locator Transmitter)라는 장비로 ... ...
친환경 에너지 타운에 전통녹색기술 접목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현재는 시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도시의 대표적인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더운 여름
날
도시의 기온을 낮춰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충남 아산의 외암민속마을과 전남 순천의 낙안읍성 등에도 도랑이 있다. 우리나라의 도랑은 인공적인 건축물 주변으로 물만 흐르는 독일의 도랑과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저녁 입술 주변이 약간의 작열감과 함께 간질간질했다. 이때 눈치를 챘어야 했는데 다음
날
아침 일어나보니 작은 물집이 올라와 있었다. 단순포진(herpes simplex)이다. 몸이 피곤했는지 면역력이 약해져 잠자고 있던 헤르페스바이러스가 준동한 것이다. 필자는 몸이 좀 약한 편이라 일 년에 두세 차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세상을 떠
날
때까지 후학들과 함께 연구를 계속했다. 체육관에 가는 도중 쓰러져 사망한
날
에도 논문 원고 작업을 하며 동료들과 e메일을 주고받았다고 한다. ... ...
겨울철 식중독 단골 바이러스, 1시간 만에 검출
2014.12.26
복통과 메스꺼움 때문에 밤새 혼이 났다. 당시 머릿속을 스친 건 겨울철 식중독. 다음
날
오전 병원을 찾았지만 대증요법으로 장을 진정시켜 주는 주사와 수액을 맞은 게 전부였다. 겨울철 식중독을 일으키는 단골손님인 노로바이러스가 원인이냐고 의사에게 물었지만 “그럴 수도, 아닐 수도 ... ...
[만화] 우황청심원은 시험의 긴장을 풀어줄 수 있나?
KISTI
l
2014.12.22
별로 하고 싶지도 않고 잘할 자신도 없지만, 수능만은 꼭 잘 보고 싶거든요. 그래서 수능
날
만 되면 마치 제가 입시를 치르듯 이상하게 떨리더라고요. 그래서 말인데요, 떨린 마음을 다잡고 두둑한 배짱으로 높은 점수를 얻으려면 우황청심원을 꼭 먹어야 하겠죠?” “공부는 하기 싫고 시험은 잘 ... ...
과학계 '그랜드 슬램' 뒤에는 그가 있었다
IBS
l
2014.12.16
여자가 할 만한 일이 별로 없었습니다. 그래서 학원 강사 등을 하면서 지냈는데 어느
날
포스텍에 있던 남홍길 단장님 연구실에서 사람이 필요하다는 소식을 접하게 됐죠. 그게 1999년이었습니다." 당시 남홍길 단장의 연구실은 막 발돋움을 시작하던 시기. 그래서 다양한 인력이 필요했는데 특히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마시면 성을 간다’며 결심을 하고 학습효과가 며칠은 가기 때문이다. 반면 과음 다음
날
에도 별 탈이 없는 사람들은 연달아 술을 마시다보니 어느새 중독이 된다는 것. 2005년 ‘영국의학저널’에 실린 한 리뷰논문은 숙취 연구결과를 이렇게 요약했다. “숙취를 예방하거나 없애는 민간요법 ... ...
영화 속에서 나타난 바이러스와의 전쟁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2.11
어느
날
갑자기 무너져 버릴 수도 있다는 공포다. 신자유주의가 만들어낸 금융위기와
날
이 갈수록 심해지는 빈익빈 부익부, 특히 미국사회에서 의료불안은 대중들의 불안감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심지어 서점에서『좀비 서바이벌 가이드』라는 책도 유행했다. '살아있는 시체들 속에서 살아남기 ...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
IBS
l
2014.12.10
이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충분히 개발된다면 실제 양자 컴퓨터를 대중적으로 사용할
날
도 그리 멀지는 않을 것이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