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피타고라스 정리로 증명한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제곱인 b2은 지구 반지름 R에 비해 매우 작은 값이고, 매우 큰 수 2Rb에 더해도 계산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무시합니다. 그럼 d'≒ √ (2Rb)= √ (2R)+ √ b라 생각할 수 있죠. 같은 방식으로 d를 계산하면 d≒√ (2Ra)= √ (2R)+ √ a가 됩니다. 이제 실제 값을 대입해 울릉도에서 독도를 볼 수 ...
- [기획] 그것이 알고 싶다, 2022년 새로운 수학 교과서가 온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015 개정 교육과정이 고지된 지 6년 만에 이뤄진 일이죠. 교과서 내용은 물론 수업 방식 등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런데 2022 개정 교육과정으로 달라질 수학 교과과정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좀 더 알아봐야겠습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 ...
- [기획] 수학 학습량을 보는 다른 시선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022 개정 교육과정의 큰 줄기인 총론 주요사항 발표를 앞두고 교과과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인공지능에 필수인 수학 역시 그 중심에 있습니다. 수학 교과과정의 방향을 두고 논란이 펼쳐지는 현장으로 들어가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국가교육회의는 지난 5월 17일부터 6월 17일까지 ... ...
- 슈퍼 컴퓨터 성능이 궁금해? 원주율 계산에 도전해 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슈퍼컴퓨터는 하드웨어인 CPU 여러 개를 병렬로 연결해 완성하기 때문이죠. 하나의 큰 계산을 여러 개의 CPU로 나눠 작동시킨 뒤, 그 결과들을 모아 최종적인 답을 찾는 거예요(하단 박스 참조). 병렬 컴퓨팅이 가능한 알고리듬을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한급수를 활용하는 겁니다. 흔히 숫자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22화. 수학 체험관에 진심을 담은 사람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영국 정부와 함께 대규모 통계조사를 실시해 얻은 결과에 따르면 수학에 대한 거부감이 큰 세대는 학생들이 아니라 40, 50대였습니다. 데이비드 박사는 이 결과를 통해 수학을 싫어하는 부모를 둔 자녀가 수학을 좋아하기란 기적에 가까운 일이라고 판단한 거예요. 그래서 수학을 가깝게 느끼도록 ... ...
- 기술검증│인류 지식의 최전선을 시험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안 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비행기 소음이 공항 부근 주민들에게 큰 문제가 되기 때문에 여러 소음 저감 기술들이 개발돼 있지만, 어디까지 줄이는 것일 뿐 아예 없어지게 하지는 못한다. 3. 추진시스템결국 UFO의 이상한 비행은 대부분 ‘무시무시한 추진시스템을 갖추고 ... ...
- [한페이지 뉴스] 북해 아래 잠든 빙하기 땅이 드러났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난 뒤 형성되는 움푹한 땅이다. 이들은 터널 협곡이 침식되는 데에 땅 위의 빙하가 큰 영향을 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연구팀은 터널 협곡이 생겨났다가 다시 퇴적되길 반복했고, 그 결과 케이크 시트처럼 여러 겹 쌓인 모습으로 지층에 남았다는 사실도 밝혔다.켈리 호건 영국 남극조사연구소 ... ...
- 소형모듈원전(SMR), 기후위기 구원투수될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형태보다 연료 이용률도 더 높고, 무엇보다 사용후핵연료를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워렌 버핏은 미국 와이오밍주에 위치한 화력 발전소를 소유하고 있다. 이 화력 발전소는 곧 폐쇄 예정인데, 여기에 빌 게이츠가 개발 중인 SMR을 건설하는 데 의기투합했다. 김 교수는 “와이오밍주에 ... ...
- [과동키즈] 이제는 없는 얼굴을 위하여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예술적 기량을 접목한 팔레오아트그렇다고 스트레스가 없었을 리는 없다. 미대생의 가장 큰 부담은, 적어도 학교를 떠나기 전까지 실기와 이론을 버무린 자신만의 작품론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이디어와 영감을 얻어야 하는데, 그것들은 공연히 찾아오는 법이 없기에 수많은 ... ...
- [논문탐독] 세차게 내리는 빗방울을 하늘에서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연구위성 관측으로 알아낸 강수 구름의 유형은 기존의 여러 지상관측 연구 결과와 큰 틀에서 비슷했습니다.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하면서도 지상관측의 단점이었던 자료의 공간적 제약을 해소했습니다. 위성 관측으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강수 유형별 구름 높이와 같은 정보를 얻었다는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