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스페셜
"
생물
"(으)로 총 1,562건 검색되었습니다.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6개월에 거쳐 심사를 벌였지만 윌리엄 러켈스호스는 청장은 DDT가 인간의 건강과 야생
생물
에 그렇게 위험하지는 않다며 DDT의 등록 말소를 거부한다. 그러나 논쟁이 수그러들기는커녕 더 확산됐고 결국 EPA는 7개월에 거쳐 청문회를 진행했고 1972년 러켈스호스는 마침내 ‘공중 보건을 위한 특별한 ... ...
[법성포에서 원자력을 만나다2] 에너지로 키워 낸 한반도의 물고기들, 한빛 에너지 아쿠아리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0
여러 조개류를 만져볼 수 있는 터치풀도 구비했다. 정교하게 만든 물고기 박제와 해양
생물
모형들도 다수 갖추고 있어 아이들의 체험공간으로는 더할나위 없이 좋은 조건을 갖췄다. 알찬 즐길거리 덕분에 입소문이 난 지금은 평일에도 제법 사람들이 많다. 유치원이 끝나는 시간부터 문을 닫을 ... ...
공감 능력이 없는 반사회성 인격장애, 어떻게 봐야 할까?
KISTI
l
2015.03.31
대해서는 반드시 합당한 법의 심판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반사회성의 원인이 선천적인
생물
학적 특징과 불우한 후천적 환경에서 비롯하는 만큼 사후 처벌 일변도가 아닌 사전 예방을 같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 늘어나는 반사회적 사건에 대한 책임을 개인에게만 돌리지 않고 사회 전체가 고민할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둘 경우 불과 1도 차이에도 달걀의 상태가 꽤 다르게 나온다. 즉 이 온도범위가 달걀에서
생물
리적 전이가 일어나는 구간이라는 것. 1_조리 과정에서 물의 온도에 따라 달걀의 상태가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단백질의 변성과 엉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이다. - Modernist Cuisine 제공 ... ...
막스 플랑크 연구소 출신 3인방, 식물에서 새로운 꿈 키운다
IBS
l
2015.03.30
성장시키고 있다. 김상태 연구위원은
생물
들의 유전적 베이스를 이해함으로써 다양한
생물
의 변이와 자연 현상을 규명하고 싶다고 밝혔다. 김혜란 연구위원은 유전체 교정 기술이 도입된 식물체를 얻어내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는 것이 현재의 목표라 말했다. 팀을 이끌고 있는 김상규 연구위원은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
IBS
l
2015.02.26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분자
생물
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브라운대에서 분자
생물
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는데, 흥미롭게도 학부 때부터 DNA 복구에 관심을 갖고 관련 연구에 참여했다고 한다. 학부 때는 DNA 이중가닥 중 하나만 고장 날 때 이를 고치는 '뉴클레오티드 절단 복구(Nucleotide Excision ... ...
독일 녹색기술 경제와 제조업 4.0
2015.02.26
위주로 에너지 시스템을 전환한다. 자원 순환 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추구하는 한편,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를 유지한다. ● 녹색전환에 의한 녹색기술시장 성장의 가속화 환경친화적인 경제 방식을 통해 생태계 리스크 완화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견해는 점점 더 많은 국가에서 지지를 얻고 있다.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제 어미가 있었을 터다. 그 어미의 어미는 긴 족보를 이루어 결국에는 최초의 육상
생물
에까지 이를 것이고 다시 더 거슬러 올라가면 바닷속에서 최초로 광합성을 시작한 시아노박테리아를 만날 것이다. 여기서 더 옛날로 가보면 온갖 유기물로 곤죽이 된 원시 바다와 그 바다가 탄생하기 전의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라는 제목의 기사도 실렸다. 기사에서 네덜란드 후브레쉬트연구소의 줄기세포‧암
생물
학자인 한스 클러베스는 이번 연구에 대해 “암 발생이 임의로 일어난다는 사실이 두려운 일일수도 있지만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며 “암환자 대부분은 운이 없었던 것일 뿐이므로 암에 걸린 게 자신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초식동물의 개체수를 조절해야 식물의 씨가 마르지 않는다는 것. 2001년 학술지 ‘
생물
보존’에 실린 미국 오리건주립대 윌리엄 리플 교수팀의 옐로스톤 늑대복원 사례연구가 이 입장을 지지하는 유명한 논문이다. 600년 전만 해도 북미대륙에는 회색늑대가 무려 200만 마리가 살았던 것으로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