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생물"(으)로 총 1,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장균에서 휘발유를 뽑아낸다!KAIST l2014.05.16
- 가능할지는 연구팀원들도 예측할 수 없다. 하지만 긍정적인 것은 이미 또 다른 미생물의 대사공학에 의해 이번 네이처 논문에 발표한 결과보다는 향상된 결과를 얻고 있다는 것이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에 들어오는 데 필요한 자질은? 어차피 깊이 있는 연구는 대학과 대학원에 와서 하게 될 ...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KISTI l2014.05.14
- 됐기 때문이다. 특히 쿡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채집한 갖가지 동식물 표본은 박물학(생물학)에 크게 이바지했고 그가 데려 온 캥거루는 유럽인들의 미지에 대한 관심을 끌게 했다. 쿡은 단순한 선박의 함장이 아니라 완벽한 과학자의 면모를 갖추고 있었다. 1차 항해에서 미지의 남방 대륙을 찾는 데 ...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IBS l2014.05.14
- 오른쪽의 형태를 얻을 수 있으며 화살표 양쪽의 매듭은 수학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생물학 외에도 매듭론은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국내에서 발표된 것 중 중요한 사례로는 땋임군을 이용한 암호이론이 있다. 이는 세계에서 최초로 한국의 연구자가 개발한 독자적인 암호체계로 후속 연구가 계속 ...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2014.04.28
- 생각을 하게 됐을까. ●같은 종임에도 행동 패턴 달라 학술지 ‘행동생태학&사회생물학’ 2013년 6월호에는 이에 대한 답을 주는 논문이 실렸다. 제비류 가운데 일부가 뻐꾸기의 탁란을 피하기 위해 사람들 근처에 집을 짓는 과감한 선택을 하게 됐다는 것이다. 뻐꾸기 같은 새는 사람을 극도로 ... ...
-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2014.04.21
- 마감하게 된다. ●박테리아 단백질이 식물 단백질 파괴 유도 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4월호에는 파이토플라스마가 식물이 꽃을 만들지 못하게 하는 메커니즘을 분자차원에서 규명한 연구가 실렸다. 영국 존인네스센터의 연구자들은 모델식물인 애기장대를 대상으로 즉 파이토플라스마의 ... ...
- [생활 속 기술]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KOITA l2014.04.17
- 작은 구멍이라 물이 새지는 않는다. 그리고 또 하나, 스스로 복구하는 능력이 있다. 생물재료는 다른 재료가 갖지 못하는 독특한 특성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자기 복구 능력이다(37쪽 박스 참조). 균사체 덕분에 버섯® 재료는 금이 가거나 부서져도 스스로 다시 달라붙는다.이제까지 베이어와 ...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14.04.14
- 동아프리카 최초의 호미니드 화석을 발견해 일약 스타덤에 오른 케냐 태생의 영국 고생물학자 루이스 리키는 여세를 몰아 깜짝 놀랄 발견을 이어갔다. 참고로 호미니드(hominid)는 인간과 침팬지의 공통조상에서 인간 쪽으로 갈라진 계열에 나타난 인류를 통칭하는 용어다. ‘진지(Zinji)’라는 ... ...
- 꽃은 봄이 온 걸 어떻게 알까?KISTI l2014.04.10
- 만나 생장점으로 전달돼야 꽃이 핀다는 사실을 알아내 ‘미국공공과학도서관학회 ’생물학회지(PloS Biology)’ 2012년 4월 17일자에 발표하기도 했다. 또 2013년 개화 시기를 조절하기 위해 GI(Gigantia, 자이겐티아) 단백질이 낮에는 골고루 퍼지고, 밤에는 핵체에 밀집하는 형태로 변화한다는 연구 결과가 ...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1
- 990년 패보는 독일 뮌헨대의 동물학연구소에 자리를 잡았다. 이곳에서 그는 본격적으로 고생물의 게놈을 해독하는 연구를 시작한다. 동굴곰과 땅늘보, 매머드 같은 멸종동물의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분석해 현생 유사 동물과의 계통분류학적인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결과를 내놓은 패보 교수팀은 이 ... ...
- 느낌 아니까! 터치는 따뜻한 손으로 천천히…동아사이언스 l2014.03.18
- 나머지를 쓸어 담아 ‘원생생물계’로 분류한 것처럼(참고로 나머지 하나는 모네라(원핵생물)계). 인체에서 가장 큰 감각기관이라는 피부 역시 촉각만 담당하는 건 아니다. 즉 피부 아래 진피층에는 외부자극을 다양한 관점에서 감지하는 여러 종류의 감각수용체가 분포해 있고, 이들이 감지한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