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생물"(으)로 총 1,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3편]동아사이언스 l2013.12.18
- 기계항공공학부 서갑양 교수 제2편 서울대 재료공학부 황농문 교수 제4편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이윤우 교수 제5편 서울대 산업공학과 조성준 교수 제6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차상균 교수 제7편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주한규 교수 제8편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김용환 교수 제9편 서울대 ...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2편]동아사이언스 l2013.12.18
- 기계항공공학부 서갑양 교수 제3편 서울대 건축학과 강현구 교수 제4편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이윤우 교수 제5편 서울대 산업공학과 조성준 교수 제6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차상균 교수 제7편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주한규 교수 제8편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김용환 교수 제9편 서울대 ...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1편]동아사이언스 l2013.12.18
- 편 서울대 재료공학부 황농문 교수 제3편 서울대 건축학과 강현구 교수 제4편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이윤우 교수 제5편 서울대 산업공학과 조성준 교수 제6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차상균 교수 제7편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주한규 교수 제8편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김용환 교수 제9편 서울대 ... ...
- 동화의 재구성, ‘빨간 모자’와 ‘해님달님’동아사이언스 l2013.12.09
- 사이의 거리보다 더 가깝다. 직관적으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사실이지만, 오늘날 많은 생물학자들은 계통분류학을 신뢰하고 있다. 최근 10여년 사이 계통분류학의 방법론이 언어학이나 인류학 분야에 도입되면서 참신한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계통분류학적 방법은 기존의 인문, 사회학적 ... ...
- 노벨 과학상, 패러다임을 바꿔야 받는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12.06
- 다뤘다면 ‘참’은 10만 개 이상의 원자 반응도 척척 계산해낸다. 전 세계 화학자와 생물학자 중에서 비커나 전자현미경을 만지지 않고도 컴퓨터만을 이용해 연구를 완성하는 비율도 많이 늘어났다. 실험실의 풍경을 바꿔놓은 것이다. 생리의학상을 받은 제임스 로트먼 교수, 랜디 셰크먼 교수, ... ...
- 프레더릭 생어, 생명의 정보를 캐는 방법을 발견한 사람동아사이언스 l2013.11.25
- 서열을 밝힌 건 단백질 연구의 전환점일 뿐 아니라 당시 막 밝혀진 DNA이중나선의 생물학적 의미를 성찰하는데 결정적인 힌트가 됐다. 즉 프랜시스 크릭은 생어의 연구로부터 아미노산이 일렬로 배열된 단백질의 구조가 핵산(염기)이 일렬로 배열된 DNA의 구조와 대응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즉 DNA는 ... ...
-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뿌리를 찾다 Ⅱ동아사이언스 l2013.11.11
- 기존 학설의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 미국 유타자연사박물관 제공 기사를 읽고 역시 고생물학은 미완성의 학문임을 확인했는데, 바로 뒤에 이를 재확인하는 연구결과가 또 나왔다. 학술지 ‘플로스원’ 11월 6일자에는 8000만 년 전 북미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 ‘리트로낙스 아르제스테스 ...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동아사이언스 l2013.11.04
- 아버지의 영향으로 카네기멜론대 화공학과에서 학부를 마친 뒤 예일대에서 1991년 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이런 경력을 잘 살려 1991년 큐라젠(CuraGen)이라는 바이오벤처를 만들어 유전체학에 기반한 약물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여러 약물을 개발했고 14차례나 임상시험도 ...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동아사이언스 l2013.10.30
- 이르게 된다. 과연 그럴까. 미국 코넬대의 저명한 신경생물학자 폴 셔먼과 아내인 진화생물학자 자넷 쉘먼-셔먼은 1953년 이후의 논문을 뒤져 알레르기와 암의 관계를 조사했다. 발암물질이야말로 대표적인 독소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놀랍게도 알레르기와 암발생이 서로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 ...
- [채널A] 과학으로 하나 된 ‘미래과학콘서트’ 현장채널A l2013.10.29
- 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리처드 로버츠 교수가 첫 연사로 나서 DNA를 이용한 생물정보학의 미래를 이야기하자 200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미국의 앤드루 파이어 교수가 바통을 이어 받습니다. 청중석에선 이들을 향한 질문이 쏟아지고, 정성어린 답변이 이어집니다. 이틀 동안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