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승
승전
전승
자손
후손
후예
뉴스
"
후속
"(으)로 총 1,63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형 지진 뒤 여진, AI가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30
제공 대형 지진이 발생한 뒤에 이어지는 여진의 규모와 발생 장소를 예측하는 것은
후속
피해를 줄이는 데 중요하다. 현재도 지층의 움직임을 연구하거나 통계를 이용해 여진이 발생하는 패턴을 예측하려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은 부정확해 절반의 예측에 머물고 있다. 최근 미국 하버드대와 구글 ... ...
한울4호기 수동 정지…원안위 조사
동아사이언스
l
2018.08.30
따르면 한울4호기는 지난 7월 20일 재가동에 들어간 뒤 정기검사 후 진행해야 하는 11개
후속
검사 항목 중 출력상승시험 등 10개는 모두 정상 완료된 상태다. 하지만 ‘주급수 계통 검사’란 항목을 통과하지 못해 가동을 정지했다고 원안위는 밝혔다. 주급수 계통 검사는 터빈으로 작동하는 주급수 ... ...
중장기 연구인력 양성방안 위해 정부 산업계 머리 맞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9
발표와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과기부는 지난 7월 ‘국가R&D 혁신방안’의
후속
조치로, ‘중장기 이공계 인재 양성 및 활용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우수 연구인력의 수급현황과 경력상 발생하는 현장의 문제점을 집중 논의했다. 과기부에 따르면 현재 이공계 연구인력의 ... ...
[과학게시판] 원자력연 중성자계측기 개발 MOA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08.29
‘국가적 책임을지고 있는 사이버보안 사고 대응팀 간 공동 업무협약’를 체결한후, 그
후속
조치로 매년 회의를 열어왔다. 이번 회의에서 3국은 지난 1년 간 각국에서 발생했던 피싱 등 사이버 악성행위 통계 및 대응 현황을 분석하고 차년도 협력 필요사항에 대해 검토했다 ... ...
[2019 R&D 예산안] 늘어난 기초연구 예산에 과학계 환영…“예산 심사도 잘 통과하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이번에 발표된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에 대해 과학계는 대체로 환영하면서도 "아직 국회 예산 심사가 남은 만큼 마지막까지 신중히 추진해야 한다"는 ... 연구개발 예산에 대해 과학계는 대체로 환영하면서도,국회의 예산 심사가 남아 있는 만큼
후속
조치가 중요하다는 말도 나온다 - GIB ... ...
[표지로 읽는 과학] 깨달음 세계 만다라 닮은 그래핀 준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18.08.25
연구 분야를 열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김필립 미국 하버드대 교수팀과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올해 6월 사이언스 온라인판을 통해 처음 공개됐던 이 연구 결과는 이번에 정식으로 출간되면서 표지논문에 선정됐다 ... ...
“우리 힘으로 세계 비핵화에 기여를”
동아사이언스
l
2018.08.20
재처리 여부를 알아내는 ‘열이온화질량분석(TF-TIMS)’ △세슘 등 물질을 시료에 쏴
후속
반응을 통해 핵물질 및 동위원소비를 찾는 ‘이차이온질량분석(SIMS)’이다. IAEA-NWAL 인증 연구기관 분포 현황. -사진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12년과 2015년 총량분석과 TF-TIMS를 각각 인증 ... ...
[테마영화]형만큼 뛰어난 아우들...스핀오프 영화 BEST 3
2018.08.18
앞선 이야기를 담은 프리퀄(prequel), 다음 이야기로 이어지는 시퀄(우리가 아는 그
후속
편), 전작과 유사한 이야기를 새롭게 시작하는 리부트(reboot)와는 구분된다. 오늘은 그동안 개봉했던 스핀오프 작품 중에서 성공한 영화들을 세 편 추려서 소개하고자 한다. BEST 1. ‘슈퍼배드’ 시리즈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RNA간섭, 20년 만에 의약품으로 결실 맺다!
2018.08.14
제공 새로운 유전자 발현 조절 시스템 파이어와 멜로를 비롯해 연구자들은
후속
연구를 통해 이 시스템의 실체를 밝히는 데 성공했다. 즉 세포 안으로 RNA이중가닥이 들어오면 다이서(Dicer)라는 단백질복합체에서 염기 20여 개 길이로 잘린 뒤 또 다른 단백질복합체인 RISC에서 단일가닥 ... ...
부작용 걱정 없는 유전자가위 치료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8
포함한 난치성 유전 질환에 적용 가능한 플랫폼 기술”이라고 밝혔다. 장미희 박사는 “
후속
연구에 따라 동식물 개량 등 향후 유전자 개량이 필요한 전 분야에 응용 및 확장 가능한 기술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기술분야 학술지 ‘ACS나노(ACS Nano)’ 최신호에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