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냉정한 기술 생태계에서 살아남을 개발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올해로 7년차 웹 개발자인 황서원 아보엠디코리아 리드 엔지니어는 “앞으로 점점 모든 사람이 스마트폰을 다루듯 프로그래밍 언어 하나씩은 아는 세상이 될 것”이라며 개발자의 미래를 밝게 전망했다. 올해 1년차로 안드로이드 앱 개발자인 이유리 시솔지주 엔지니어도 “개발은 사회에서 계속 ... ...
- [기획] ‘신경다양성’이라는 따뜻한 시선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스펙트럼이란 개념은 인간적인 동기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양극단에 걸친 다양한 사람들을 하나의 범주로 묶은 데 따라 생긴 문제들을 정확히 파악하고 풀어나가려면 앞으로도 많은 논의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우영우가 그려낸 자폐의 세계는 따뜻하고 환상적이다. 하지만 그것이 하나의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한다”며 “아스팔트를 덮으면 물이 스미지 않는 불투수면적이 늘어나는 만큼, 개발하는 사람이 자체적으로 이 불투수면적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옛날 우리 조상의 방식을 떠올리면 쉽습니다. 경복궁을 지을 때도, 커다란 연못 두 개를 마련했고, 사찰을 지을 때도 연못을 만들었죠. ... ...
- [광고] 과학덕후를 위한, 과학덕후에 의한 문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세트’입니다. 과학동아를 만드는 회사, 동아사이언스에는 유독 과학에 진심인 사람들이 많습니다. 마케팅팀의 차미현 마케터도 그중 하나입니다. 그가 어느 날부터 갑자기 “과학덕후를 위한 문구를 만든다면 어떤 게 좋을까요?”라고 물어보고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한 초여름날에는 메모지 ...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고려대 생명과학부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저는 다양한 발표 활동에 참여하는 게 생명과학을 전공한 뒤에 제 연구 내용을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할 때 도움이 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교내 대회와 수행평가 및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기초 학업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이었던 셈입니다. 세부능력및특기사항 ... ...
- [특집] 어린이날,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표현으로 ‘어린이’라는 단어를 택했습니다. ‘늙은이’, ‘젊은이’처럼 나이가 어린 사람을 대우하여 부르는 ‘어린+이’에서 나온 표현이었지요. ‘어린이’는 이전에도 쓰인 단어였지만, ‘존중받아야 할 독립적인 인격체’라는 의미로 어린이가 쓰인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습니다. 방정환은 ... ...
- [4컷 만화] 폼페이 유적지 지킴이 로봇 개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소프트웨어가 유적지의 입체 지도를 그리지요. 이를 로봇 밖의 컴퓨터로 전송하면 사람들도 지도를 볼 수 있어요. 로봇이 조사한 자료로 유적지에서 풍화된 부분을 찾아낼 수 있어요. 스팟은 순찰을 돌며 도굴범으로부터 유적지를 지키기도 합니다.폼페이고고학공원 가브리엘 주흐트리겔 소장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둥둥 뜨는 영화관? 플로팅 홀로그램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지난 3월 16일, 영국의 스타트업 ‘인비저블 쉴드 코퍼레이션’이 뒤에 놓인 사람은 가리고 배경만 보여주는 ‘투명 방패’를 공개했어요.우리 눈은 물체에서 반사된 빛을 인식해 물체를 봅니다. 만약 물체에서 반사된 빛을 굴절시켜 우리 눈에 닿지 않게 한다면 물체가 눈앞에 있더라도 볼 수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1화. 우리 학교를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2년 09호
- 기록돼 있는데, 이 학교를 옥스퍼드대 사람들이 설립했어요. 이 사실에 옥스퍼드대 사람들은 항상 자부심을 느끼고 케임브리지대를 놀리는 데 사용합니다. 호그와트의 기숙사 닮은 옥스퍼드대의 칼리지 오래된 대학이라는 사실 만큼이나 유명한 또 다른 특징이 칼리지 시스템입니다. 사실 ... ...
- [화보] 위협 속에서 생존하는 야생의 치열한 삶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통해 지구에 사는 다양한 생명체의 존재를 알리고, 이들이 직면한 위협을 보여준다. 사람들이 야생동물과 자연 보존에 더욱 관심을 갖고 생태계 파괴에 경각심을 갖게 하기 위해서다. 그래서 자연의 아름다운 모습뿐 아니라 다소 기괴한 모습까지도 담는다. 올해 수상작 일부를 소개한다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