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더 큰 열매를 위한 씨앗! 과감한 투자, 가을이형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미래의 나를 위한 공부예요!”가을이는 어떤 회사에 투자해야 할지 고민하며 주변
사람
들의 말에 휘둘렸어요. 투자는 어떻게 하는 게 좋은지 또래 투자자에게 조언을 들어볼까요? 언제부터 투자를 했나요? 10살 때부터 시작했어요. 부모님과 함께 식사하면서 자연스럽게 투자 얘기를 듣게 됐어요.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1화. 우리 학교를 소개합니다!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기록돼 있는데, 이 학교를 옥스퍼드대
사람
들이 설립했어요. 이 사실에 옥스퍼드대
사람
들은 항상 자부심을 느끼고 케임브리지대를 놀리는 데 사용합니다. 호그와트의 기숙사 닮은 옥스퍼드대의 칼리지 오래된 대학이라는 사실 만큼이나 유명한 또 다른 특징이 칼리지 시스템입니다. 사실 ... ...
[매스미디어] 수학계에도 우영우가 있을까?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성공할 가능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주변의 도움을 받아 학습하고,
사람
들과 소통하는 노력을 한다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뛰어난 수학, 과학 실력으로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가 물리학을 전공한 일론 머스크와 컴퓨터공학을 공부한 빌 게이츠입니다. 이들은 스스로 아스퍼거 증후군이 ... ...
[수학 뉴스] 순식간에 대학교 수학 문제 푸는 AI 나왔다!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문제인지 아닌지 찾으라는 설문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조사 결과 AI가 만든 문제에 대해
사람
이 만들었다고 평가하는 비율과 AI가 만들었다고 평가하는 비율이 한 문제를 제외하고는 거의 차이가 없었습니다. 연구를 이끈 이도 드로리 MIT 전기공학 및 컴퓨터과학부 교수는 “우리가 개발한 AI는 ... ...
[과학뉴스] 티라노사우루스는 3종이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두 부류로 나눌 수 있어요. 첫 번째는 새로운 학명을 붙이려는 ‘스프린터’라는
사람
들이고 두 번째는 최대한 종을 묶으려는 ‘럼퍼’들이죠. 올해 논쟁은 스프린터와 럼퍼 간의 충돌입니다. 지금은 티라노사우루스가 3종이라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앞으로 충분히 단일종이 아니라는 ... ...
[특집] 냉정한 기술 생태계에서 살아남을 개발자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올해로 7년차 웹 개발자인 황서원 아보엠디코리아 리드 엔지니어는 “앞으로 점점 모든
사람
이 스마트폰을 다루듯 프로그래밍 언어 하나씩은 아는 세상이 될 것”이라며 개발자의 미래를 밝게 전망했다. 올해 1년차로 안드로이드 앱 개발자인 이유리 시솔지주 엔지니어도 “개발은 사회에서 계속 ... ...
[기획]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현실에 있다면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보려면?Intro.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현실에 있다면[인터뷰] “해리포터 같은
사람
이라고 생각해요” Part1.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Part2. ‘신경다양성’이라는 따뜻한 ... ...
[인터뷰] “해리포터 같은
사람
이라고 생각해요”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 중엔 저나 우영우 같은 자폐인들도 있을 거예요. Q.
사람
들에게 바라는 점이 있다면?자폐인들은 소통 방식이 다르다는 걸 이해해줬으면 좋겠어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3화에 말을 거의 못 하고 펭수만 좋아하는 자폐인이 등장하는데, 그의 소통 방식에 맞춰 준 뒤에야 ... ...
[기획] ‘신경다양성’이라는 따뜻한 시선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스펙트럼이란 개념은 인간적인 동기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양극단에 걸친 다양한
사람
들을 하나의 범주로 묶은 데 따라 생긴 문제들을 정확히 파악하고 풀어나가려면 앞으로도 많은 논의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우영우가 그려낸 자폐의 세계는 따뜻하고 환상적이다. 하지만 그것이 하나의 ... ...
뒷이야기가 더 흥미로운 제임스웹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같은 천체를 찍었지만, 두 사진에서 느낄 수 있는 우주의 신비는 달랐다. 설명하는
사람
은 클라우스 폰토피단. 제임스웹 운영을 담당하고 행성의 탄생을 연구하는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의 프로젝트 과학자다. 시각 예술가, 작가가 함께 참여한 프로젝트8월 2일부터 1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