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8세기까지만 해도 어떤 수가 소수인지 알아내는 방법이 없었다. 그저 2부터 시작해서 하나씩 계속 나눠볼 수밖에 없었다. 훗날 메르센 수가 정말 소수인지 아닌지도 이런 시행착오를 거쳐 얻을 수밖에 없었다. 1772년 오일러가 231-1이 소수라는 사실을 증명해 이 숫자는 96년 동안 ‘가장 큰 ... ...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수학동아 l2024년 02호
- ≒2.718)인 로그함수가 된다. 즉 1부터 N까지 범위에서 소수는 대략 lnN개의 수를 셀 때마다 하나씩 등장한다. 이것이 바로 ‘소수 추측’이다. 시간이 흘러 노년이 된 가우스는 오차가 훨씬 적은 소수 개수에 관한 예측 식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이때 떠오른 아이디어가 동전 던지기다. 소수가 ...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이을드름 튀르키예 보아지치대학교 교수(Y)의 이름을 딴 것으로, 소수를 찾아내는 방법중 하나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처럼 소수를 일일이 찾는 방법이지만, 조합론 아이디어가 담겨 있어 에라토스테네스 체보다 효율적인 방법이다. 장 교수가 이 내용을 2013년 4월 수학계 최고 학술지인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프렌들리 AI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탈 수 있어, 일석 삼조다. 유 CTO는 “트랜스포머 모델은 디코딩 과정이 반복되며 단어를 하나씩 생성하기 때문에 한 번의 디코딩 과정이 끝나면 배칭을 풀고, 완료된 명령은 빼고, 새롭게 들어온 명령을 포함해서 다시 배칭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생성 AI 트랜스포머 모델의 특징을 활용한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유체를 잘 붙잡을 수 있죠. 보다 확실한 방법도 있습니다. 유동 박리의 이유 중 하나는 유체가 지느러미 표면을 따라 흐르다가 스스로의 점성 때문에 지느러미 끝단까지 갈 추진력을 잃는 것입니다. 따라서 힘이 넘치는 주변의 유체를 뒤섞어서 지느러미 끝까지 밀고 들어갈 힘을 보충하면 실속을 ... ...
- 수학에 사랑스러움이 가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정사각형 격자의 꼭짓점에 원의 중심을 배치하는 것, 다른 하나는 정육각형 격자의 꼭짓점에 원의 중심을 배치하는 것이다. 정사각형과 정육각형 모두 각 도형을 연달아 이어붙이면 평면을 빈틈없이 메울 수 있으니 그 구조로 원을 배치하고, 버려지는 공간이 얼마나 되는지 ... ...
- 푸딩 쏙 빼닮은 블랑망제 함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함수는 사실 확대해서 보면 모든 점이 뾰족뾰족한 첨점으로 이뤄져 있다. 확대한 하나의 톱니만 보면 미분 가능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n이 무한대로 가면 이 모양이 극한으로 작아지면서 뾰족한 부분만 남게 되는 프랙털 함수다. 즉 모든 점에서 미분이 불가능해진다 ... ...
-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조각이든 하나를 고른 뒤, 시계 방향이든 반시계방향이든 연달아 있는 조각을 차례로 하나씩 골라 먹으면 된다. 1994년 수학자 래리 카터와 스탠 웨이건은 직소 퍼즐처럼 피자를 조각내는 ‘해체 퍼즐’ 방법으로 수식 없이 이 문제를 증명했다. 해체 퍼즐은 같은 조각으로 서로 다른 기하학적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로 주문하자!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이용해 피보나치 수로 분해해 시키라는 것이다. 제켄도르프 정리는 모든 자연수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지 않는 피보나치 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는 유일하다는 것이다. 이름은 벨기에의 의사이자 아마추어 수학자 에두아르 제켄도르프에서 유래했다. 제켄도르프는 관련 연구를 1972년 ... ...
- 멋진 증명을 가리키는 말, 신의 증명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이상이 되지요. 남아 있는 비둘기 중 1마리만 고르면, 그 1마리의 비둘기가 있는 집이 하나 있어요. 따라서 날아갔다고 가정한 비둘기까지 합쳐 2마리의 비둘기가 그 집에 있게 돼요. 물론 그 집에 그 이상의 비둘기가 있을 수도 있어요. 어때요? 간단하지요. 이 문제는 쉽게 증명할 수 있는데요. 좀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