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대 소수 왜 찾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메르센 소수의 크기가 커서 계산량이 나날이 방대해지고 있다. 최근 발견된 메르센 소수 하나를 검증하는 데 컴퓨터 한 대를 기준으로 평균 1~3년이 걸린다. 또한 새롭게 발견된 메르센 소수와 직전에 발견한 수와의 간격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 앞으로 메르센 소수를 발견하는 데 소요시간은 더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오일러는 이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놀라운 발견을 했다. 바젤 문제를 소수로 이뤄진 하나의 식으로 유도할 수 있었는데, 여기서 오일러를 당혹스럽게 만드는 수가 나타난 것이다. 바로 이 식의 결과가 자연계에서 가장 완벽한 도형으로 불리는 원을 나타내는 값, π와 관련이 있던 것이다. π 때문에 ...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셈”이라고 설명했다. 야외 활동에 특화된 고스트로보틱스 로봇의 활약무대 중 하나는 전장이 될 전망이다. 조 과장은 “앞으로 현대전에 로봇이 많이 쓰일 것”이라면서 “국내 기술력을 통해 4족보행 로봇을 만드려는 노력은 안보 차원에서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기술 유출을 우려해 산업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막형 구조물인 소포를 거대한 크기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구형 나노입자를 하나씩 집어넣으면서 전자 현미경으로 변하는 모습을 관찰했습니다. 소포가 어떤 형태에서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모습으로 유지될지 지켜본 겁니다. 실험은 쉽지 않았습니다. 나노입자를 9개 이상 넣으면 소포가 ... ...
- MBTI보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 체험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염기의 순서에 따라 단백질의 재료가 되는 아미노산의 종류가 정해지죠. SNP는 이 염기 하나가 다른 염기로 바뀌는 돌연변이입니다. A가 T나 C, 또는 G로 바뀌죠. 그 결과 유전자를 통해 만들어지는 단백질의 구조가 바뀌면서 신체적 조건이 다양하게 달라집니다. 돌연변이는 ‘DNA 칩’이라고 알려진 ... ...
- [과학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적 전문성이 부족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측면에서 잘못됐는데, 하나는 카슨은 합성 살충제 사용 금지를 주장한 적이 없었고, 다른 하나는 카슨 때문에 DDT 기반의 말라리아 퇴치 정책이 중단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카슨은 ‘침묵의 봄’이나 인터뷰에서 본인이 DDT를 비롯한 합성 살충제 사용을 전면적으로 금지하자고 주장하는 것이 ... ...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우수상 작품인 민이안 작가의 ‘타디그레이디드 피플’은 SF의 오랜 테마 중 하나인 기계화된 인간들의 미래 사회에, 혐오와 차별이란 시의성을 가진 주제를 설득력 있게 결합시켰다. 심사위원들은 먼 미래의 지하도시에서 살아갈 인류에게도 혐오와 차별이 유효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 작품이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채소를 모으고 갈라~ 맛있는 카레를 만들자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카레 될 거야♪” 감자, 당근, 양파, 토마토가 하나둘씩 따끈따끈 카레 탕으로 모이고 있어요. 겨울에는 따뜻한 곳에 모여 카레가 되는 게 채소들의 필수 코스! 그런데, 잠깐! 먼저 프라이팬에서 몸을 볶고 탕에 들어가야 해요. 가장 맛있는 카레가 되려면 채소를 알맞게 모으고 갈라 볶아야 ... ...
- 무인가게는 양심으로 운영돼요!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했는데, 상자에 바코드가 없어서 가격을 알 수 없었어요. 그래서 뜯어져 있는 카드 낱개 하나의 바코드를 찍은 다음, 상자 속 카드가 30개여서 화면을 서른 번 눌러 가격을 계산했어요. 계산하지 않고 가는 것은 나쁜 일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어수동 : 무인 가게를 이용하는 친구들에게 조언을 해 ... ...
- [가상 인터뷰] 24시간 둥지 지키는 펭귄의 수면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되는 중형 펭귄이란다. 턱끈펭귄은 남극해에서 가장 흔하게 찾아 볼 수 있는 펭귄 중 하나야. 수명은 15~20년 정도고, 돌을 쌓아 올려 둥지를 만들고 살아간단다. 남극은 너무 춥지 않아? 남극은 추운 곳이지만 턱끈펭귄들은 남극에 살기 적합하도록 진화했어. 척박한 육지를 날기 보단 먹을 것이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