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사
농경
농산업
농삿일
농사일
농경지
농지
뉴스
"
농업
"(으)로 총 8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찬의 말씀] 데이터로 변화를 이끌다…"기계와 협업 잘하는 사람이 승자"
2023.08.21
여름의 초입 2023년 6월 유네스코(UNESCO)를 비롯한 국·내외 공동협력 MOU 체결, 데이터
농업
등 데이터기반 국가·사회 문제 해결 프로젝트 등을 진두지휘하며 바쁜 행보를 이어오고 있는 김재수 원장를 만나기 위해 집무실을 찾았다. 1991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전신 산업기술정보원(KINITI)에 ... ...
기술로 세상 바꾸는 ‘사이드임팩트’ 프로젝트 떴다...8월 14일까지 공모
과학동아
l
2023.07.21
냉방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면 주민들이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지 않을까. 우주
농업
기술을 활용하면 극한 기후로 식량이 부족한 지역의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기술을 활용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를 발굴, 지원하는 사업 ‘사이드임팩트’가 8월 14일까지 지원자를 ... ...
에스프레소, 알츠하이머 예방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20
배양한 결과 타우단백질의 엉킴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를 19일 국제학술지 '
농업
과 식품화학'에 발표했다. 에스프레소 등 커피류가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은 그동안 여러 연구에서 확인됐다. 2019년 오스트리아 빈대 연구팀은 96명의 참가자들에게 8주간 아라비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로 사용할 수 없다. 바다에 버릴 수 없다는 방류수는
농업
·공업용수로 쓸 수도 없다.
농업
·공업용수도 결국은 바다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이다. IAEA의 보고서를 신뢰할 수 없다는 보건학자의 억지도 황당하다. 미국·캐나다·뉴질랜드·유럽연합에도 뛰어난 역량을 가진 보건학자들이 넘쳐난다. ... ...
[씨즈더퓨처] 제로슈거의 미래는...'아스파탐' 발암 가능 물질 지정
2023.07.16
IARC의 결정에는 이런 ADI가 고려되지 않았다. 7월 14일 JECFA(세계보건기구와 유엔식량
농업
기구의 합동 식품첨가물 전문가위원회)도 아스파탐의 ADI를 기존처럼 40mg/kg/1일(하루에 섭취해도 되는 최대량이 체중 1kg당 40mg)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식약처도 JECFA의 발표와 2019년 아스파탐 섭취량을 고려한 ... ...
WHO “아스파탐은 발암가능물질” 확정...식약처 “안전성 문제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7.14
음료류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와 WHO·유엔식량
농업
기구(FAO) 합동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14일(현지시간)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발암 위험도 2B군)로 분류한다고 밝혔다. 일일 섭취 허용량은 체중 1kg(킬로그램) 당 40mg(밀리그램)인 기존 기준을 ... ...
기온 1도 오를 때마다 꿀벌도 '일주일' 일찍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높아진 겨울 기온에 꿀벌이 적응하지 못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유엔식량
농업
기구(FAO)는 전 세계 농작물의 3분의 1 이상이 꿀벌의 수분으로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FAO는 꿀벌 수의 감소가 인류의 식량 수급에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고 밝혔다. ... ...
식량위기 대안될까…EU, '유전자교정 작물' 규제 완화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NGT 작물은 기후 변화에 잘 적응하는데다 해충 저항성이 높고, 살충제나 비료가 덜 들어
농업
종사자에게 이득"이라며 NGT 작물의 규제를 완화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또 "소비자는 더 풍부한 영양분을 함유한데다 맛도 좋고 알러지 반응도 줄일 수 있는 식품을 선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라고 ... ...
도심항공교통 소재·재생에너지 저장 기술 개발 위한 융합연구단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03
중심으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등 출연연과 경북대 등 대학,
농업
관련 기업 등 총 13개 기관이 참여해 3년간 200억원이 투입된다. 김복철 NST 이사장은 “세상을 바꾸는 혁신적인 기술은 융합을 통해 창출되는 만큼, 산·학·연 전문가들이 활발하게 참여해 국가 경쟁력 ... ...
전 세계 호수 절반이 말라간다
과학동아
l
2023.07.01
녹으면서 수위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호수 생태계는 동식물에게는 물론이고 식수와
농업
용수를 얻고 수력발전을 하는 인류의 생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세계 인구의 4명 중 한 명인 20억 명이 수량이 줄어든 호수 유역에 살고 있다”며 “호수 수자원이 체계적으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