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풀밭
목초지
스텝
황야
잔디
잔디밭
목포지
뉴스
"
초원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추위가 더위보다 더 치명적이다
2015.05.25
죽을 확률이 더위에 비해 7배나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아프리카
초원
과 시베리아 벌판. 이 가운데 어느 쪽이 사망 확률이 더 높을까. 영국 연구진이 추운 곳에 머무를 때 사망할 확률이 더운 곳에 있을 때 보다 약 20배 크다는 연구결과를 의학 학술지 ‘랜싯(Lancet)’ 20일자에 ... ...
요리의 진화 인류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14
수밖에 없었어요. 이후 지구의 기후가 건조해져서 숲이 없어지자,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초원
으로 나와 동물을 먹는 인류로 바뀌어요. 이들이 바로 호모 하빌리스예요. 호모 하빌리스는 여전히 긴 팔과 돌출된 얼굴을 갖고 있어 아직은 유인원에 가까운 모습이에요. 하지만 돌망치와 돌칼을 만들어 ... ...
열대 사바나 개발 “아이고 의미 없다”
2015.03.17
농작물과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려 하고 있다. - 우드로윌슨 스쿨 제공
초원
이 우거진 아프리카 열대 지역을 일컫는 ‘사바나’. 사바나에서 선진국들이 자본을 투입해 곡물이나 바이오연료를 재배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노력이 환경적인 면에서 이득이 없다는 ... ...
동물의 천국, 탄자니아를 만나다
2015.02.15
한 켠을 차지했다. 이들 뒤에는 입을 벌리고 공격하는 듯한 모습의 사자를 세워 세렝게티
초원
에서나 볼 수 있는 장면을 연출했다. 동물을 박제하는 과정을 볼 수 있는 점도 이곳 아루샤 자연사 박물관 만의 특이한 전시다. 아루샤 자연사 박물관을 채운 다양한 박제 동물. - 아루샤=신선미 기자, ... ...
일상으로 들어 온 무인자동차
2015.02.08
제목으로 ‘
초원
의 수호자’라는 제목을 달았다. 이런 제목을 단 이유는 흰개미집이
초원
지대와 건조지대의 생태계를 안정화시키고 기후변화에 의한 피해를 줄이는 완충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새로 나왔기 때문이다. 코리나 타니타 미국 프린스턴대 생태및진화생물학과 교수팀은 ... ...
아이 러브 ♥ 고기
2015.01.28
초기 인류는 살아남기 위해서 동물성 지방, 즉 고기를 먹어야 했습니다. 아프리카의
초원
에서 고기를 구하는 일은 어렵습니다. 초기 인류의 어른 키는 100cm 정도로, 오늘날의 서너 살짜리 인간 아이와 맞먹습니다. 사냥은 어림없습니다. 살아있는 동물을 잡기가 어려우면 죽어있는 동물을 먹으면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2015.01.14
인류로 진화했고요. 하지만 라미두스가 살던 환경은
초원
이 아닌 삼림지대입니다.
초원
환경에 대한 적응으로 직립보행이 태어났다는 가설마저 흔들리게 된 셈입니다. 과연 최초의 인류는 누구이며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이 질문은 진화론의 역사와 함께합니다. 다윈이 제기한 이후 200년이 넘게 ... ...
말과 코뿔소의 본고장은 인도였다
2014.11.24
초원
을 달리는 말과 육중한 코뿔소는 같은 말 목(Perissodactyla)에 속하는 친척이다. 곰 같이 생긴 동물 ‘테이퍼’도 여기 속한다. 생김새는 모두 다르지만 이들은 발가락 수가 홀수라는 공통점이 있다. 최근 말 목 동물의 본고장은 인도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케네스 로즈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아마 방송법이 바뀐 것 같다. 여행프로그램에서도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몽골 현지인이
초원
에서 양을 잡는 장면은 뿌옇게 처리된다. 그럼에도 생선은 여전히 예외다. 맛집 탐방 프로그램을 보면 회를 뜨는 장면은 물론이고 펄펄 끓는 전골냄비에 살아있는 낙지나 문어를 넣는 장면도 하이톤의 ... ...
얼룩말 줄무늬, 왜 있는지 아시는 분~
과학동아
l
2014.04.04
위한 것일 수 있다. 태양빛을 흡수하는 검은색과 반사하는 흰색이 섞여있으니 뜨거운
초원
에서 체온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데도 줄무늬가 유리하다. 동족끼리 서로 잘 알아보기 쉽고, 등에 달라붙어 피를 빨아먹는 흡혈파리를 쫓는 데 필요할 수도 있다. 이 가운데 마지막 가설이 최근 ... ...
이전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