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스페셜
"
사실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친구 추천'으로 정보 효과적 전파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기능을 활용한 '우정 추천'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지식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는
사실
을 밝히고 연구결과를 3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사회적으로 연결된 사람들끼리 생각, 감정, 행동을 모방하는 '사회 전염'은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인간의 사회적 구조에 대한 이해가 발전하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
2024.05.02
장의 무의식적 신호 체계의 부실함이 오늘날 과식으로 인한 비만 만연의 배후라는
사실
을 알게 됐더라도 이를 개선하는 데 별 도움은 안 될 것이다. 작심삼일이라는 말처럼 의식이 무의식을 이기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문득 GLP-1 모방 비만 치료제가 지난해 '사이언스’의 연구 성과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효과를 검증한 결과 에테르만큼 냄새가 강하지 않으면서도 효과는 아주 좋다는
사실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슨은 무통분만을 위해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좋은 효과를 얻었다. 또 어린이에게 클로로포름을 적신 손수건을 코 위에 덮어두고 팔을 절단한 결과 어린이가 통증을 거의 느끼지 않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외로움을 해소해야 하는 이유
2024.04.27
부를 만한 서로 아끼고 신뢰하는 관계를 만들어 두는 것이 좋다. 하지만 안타까운
사실
은 배고픔이 음식을 먹는 행동을 유발하듯 사회적 배고픔인 외로움 역시 사회적 관계를 탐색하는 행동을 일으켜야 하지만 외로움이 오래되면 자신감이 떨어지고 사람에 대해 불신을 쌓게 되어 좋은 관계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연금개혁·의대증원 '과학적 근거'에서 '과학'은 어디?
2024.04.24
'운동권 자녀 특례입학 전형'의 불법성이 사회적 공분(公憤)을 불러일으켰던 것이
사실
이었다. 인터넷 검색으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는 명백한 진실이다. 전문성은 찾아볼 수 없고 의사에 대한 거부감만으로 똘똘 뭉친 보건복지부의 의료계 갈라치기도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 2000년의 의약분업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구가 적은 사람과 친해지려는 이유
2024.04.20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뭘까. 연구자들은 친구가 많다는
사실
은 그 사람이 사회성이 좋고 기타 바람직한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지만 친구가 많은 만큼 한 사람에게 할당할 수 있는 시간과 관심의 양은 적을 수 있다고 보았다. 반면 친구가 적은 사람은 마음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molecular glue)로 CYPA와 라스가 가까워지면서 신호를 전달할 단백질이 라스에 접근하지 못해
사실
상 꺼진 상태가 된다. 연구자들은 변이 라스 단백질이 있는 암 환자에서 얻은 암세포 100여 가지를 실험동물에 넣어 암을 유발한 뒤 RMC-7977를 적용해 효과를 봤다. 그 결과 다양한 유형의 변이에서 효과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존기능 '질소고정', 해양 조류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핵 그리고 염색체를 구성하는 DNA를 가진 진핵세포에서 질소고정이 수행된다는
사실
이 밝혀졌다. 브라루도스파에라 비겔로위를 관찰한 이번 연구에선 이 생물이 지닌 진핵세포에서 질소고정 구조가 안정적으로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세포가 분열하는 모습을 X-RAY로 촬영해 분석한 결과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차원에서 누구나 논문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오픈액세스가 긍정적인 것이
사실
이다. 그러나 현재의 오픈액세스는 학술지를 발간하는 출판사에게 엄청난 규모의 불로소득을 안겨준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다. 약탈적 학술지는 오픈액세스의 불로소득을 때문에 등장하는 사회악이다. 약탈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말이다. 곰팡이독소를 비롯해 강력한 독성을 지닌 물질 대다수가 천연물이라는 엄연한
사실
을 잊지 말아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