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AI 스타트업 '루닛' 세계경제포럼 기술선도기업 선정
연합뉴스
l
2020.06.22
AI 기술을 활용해 흉부 엑스레이(X-ray)를 분석하고 폐 결절 및 유방암 등이 의심되는 이상
부위
를 검출해주는 의료영상검출 보조 소프트웨어이다. 창업 이후 소프트뱅크벤처스, 인터베스트, 미래에셋 등에서 약 600억원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고 최근에는 미국의 의료영상 장비 기업 GE헬스케어와 ... ...
'핑크아이'도 코로나19 증상 가능성'다양해지는 증상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바 있다. 코로나19는 익히 알려진 대로 호흡기 외에도 눈을 비롯한 인체의 다양한
부위
를 공격하며 여러 증상을 만들고 있다. 마지드 포투히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뉴로그로우 뇌 피트니스센터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가 뇌 신경계를 3단계로 공격한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11일 ‘알츠하이머 저널’에 ... ...
메디톡신 퇴출에…"보톡스 주사 맞아도 되나요?"(종합)
연합뉴스
l
2020.06.19
등 심각한 과민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보툴리눔 톡신 제제가 다른
부위
로 퍼지면 급격한 근력 쇠약·언어 장애·방광 통제 상실·호흡곤란·눈꺼풀 처짐 등의 증상도 일어날 수 있다. 중증근무력 증상이나 말초 운동신경질환 등 신경근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심한 삼킴곤란, 호흡 저하 등이 ... ...
루닛·GE헬스케어 파트너십…"AI 흉부엑스레이 분석 제품 출시"
연합뉴스
l
2020.06.19
루닛은 강조했다. 이 제품은 흉부 엑스레이 이미지에서 질환 등이 의심되는 비정상
부위
의 위치와 실제 존재할 확률값을 계산하는 소프트웨어다. 97∼99% 정확도로 흉부 엑스레이 이미지를 분석하는 루닛의 '루닛 인사이트 CXR'이 적용됐다. 루닛 인사이트 CXR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 ...
코로나19로 주목 받는 항체 '칵테일'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의대팀은 코로나19 증증 환자 3명에게서 스파이크 단백질의 결합
부위
와 결합
부위
외 부분에 결합하는 항체 2종을 발굴했다. 실험동물인 햄스터에게 항체를 투약하고 바이러스를 주입해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도 마쳤다. 엘리스 랜다이스 IAVI 수석연구원은 “우리의 목표는 치료제가 가장 절실한 ... ...
코로나19 백신 국내 첫 임상 최준용 교수 “내년 상반기 3상 완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40명을 무난히 채울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바이러스의 인체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
에 결합해 바이러스 독성을 무력화하는 중화항체 형성과 지속시간이 임상 성공의 관건"이라며 "이번 임상1상 시험은 건강한 성인 40명에게 GX-19을 투여해 안전성을 검증하고 적정 용량을 결정하는 것을 ... ...
ETRI 영상 압축 AI 국제대회서 1,2위
동아사이언스
l
2020.06.18
압축 이미지에서 발견되는 '그림이 뭉개진' 흐릿한
부위
를 제거하거나, 질감이 사라진
부위
를 복원하는 방식으로 화질을 높였다. 하지만 ETRI의 기술은 이 기술을 모두 활용해 화질을 높인다. 1위를 차지한 ‘EIC-PQE’ 팀은 기존 영상 압축 기술에 화질을 개선하는 후처리 AI 기술을 도입해 화질을 ... ...
코로나19로 수요 폭발 비접촉식 체온계 기술 자립 이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양산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마이크로 적외선 센서는 서로 다른 두 금속의 접촉
부위
온도 차이에 의해 열기전력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해 인체 감지에 유리한 원적외선을 검출하는 실시간 온도 측정 센서를 말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산으로 비접촉식 체온 ... ...
코로나19 회복 환자서 얻은 수천 종 '항체 칵테일' 치료 효과 쏠쏠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를 인식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결합
부위
(RBD)와 결합하는 항체를 집중적으로 분리했다. 연구팀은 이런 항체를 두 개 조합해 투여하는 방법의 효과를 연구했다. 핸슨 교수는 “하나의 항체를 쓸 때는 바이러스가 항체를 피하기 위해 변이를 일으킬 ... ...
코로나19 세포 침투력 강해졌다지만 실제 감염력 차이 아직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제기한 연구다. 다만 이 변이 자체는 이번에 처음 발견된 새로운 변이가 아니며, 이
부위
의 변이가 감염력 차이를 불러 일으킨다는 주장도 처음은 아니다. 먼저 이 변이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서 관찰되는 가장 주요한 변이 가운데 하나로 초창기부터 바이러스 학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