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장애인 보조로봇 올림픽 출전 앞둔 국가대표 로봇슈트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로봇의 단점을 인체 균형을 모사해 로봇의 무게중심을 잡는 기술로 개선했다. 신체 각
부위
에 들어맞는 착용부를 연결하는 로봇 관절의 위치를 조절해 무게중심을 정밀하게 맞추는 기술이다. 로봇 무게는 그대로지만 착용자가 느끼는 무게는 대폭 줄었다. 착용자의 긴장이나 지면 상태와 같은 외부 ... ...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력 10배로 커졌다"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ACE2)’를 인식해 세포 안에 침투한다. 이 때 ACE2를 인식하는 역할을 하는 바이러스의
부위
가 스파이크 단백질이다. 연구팀은 D614G 돌연변이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숫자를 5배 더 늘어나게 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D614G 돌연변이가 생긴 바이러스와 돌연변이가 없는 바이러스를 가지고 실험한 ... ...
"근육통에 효과"…저주파 마사지기 허위·과대광고 438건 적발
연합뉴스
l
2020.06.12
광고는 객관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패드 부착
부위
에 피부 자극이 나타날 수 있고, 심박동기를 사용 중인 환자 등은 예기치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
뇌 속 신경세포 분포 정확히 보는 3D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9
비교 분석하는 기술을 완성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시각을 담당하는 뇌
부위
인 외측 슬상핵과 시각피질 사이의 연결 구조 분포를 측정하는 데에 성공했다. 또 KAIST는 물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하버드대, 캘리포니아공대(칼텍) 등에서 뇌 신경세포 네트워크 분석에 활용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해질과 액체 금속의 연결고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7
따르면 전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2전자볼트의 에너지 수준에서 용액의 특정
부위
에 녹아든 전자와 유전체가 수직 형태로 분리되는 광분리 현상이 나타났다. 유전체는 절연체의 표면에 전하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이같은 현상이 계속되면 금속 내에서 자유전자가 집단적으로 ... ...
[프리미엄 리포트]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
2020.06.06
하지만 물리학자로서는 불행하게도 우리 몸은 하나의 강체가 아니다. 몸의 각
부위
는 독립적으로 제각각 움직인다. 그래서 몸의 움직임을 동역학적으로 기술하기 위해서는 각 신체의 뼈들을 강체로 근사한 다음, 여러 개의 강체가 독립적으로 움직인다고 가정해야 한다. 일례로 필자가 글을 쓰기 ... ...
연내 등장 기대되는 코로나19 치료제 3총사...옛 약에서 새 약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5
올 5월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스파이크단백질 수용체결합
부위
(RBD)에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 4개를 발굴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국내에서는 셀트리온이 개발중인 항체치료제 후보물질을 족제비(페럿)을 대상으로 실험해 이달 초 효능을 확인했다. ... ...
연내 기대되는 코로나19 치료제 3총사는 혈장·항체·화합물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0.06.03
진행 중이다. 흡입하는 형태의 스테로이드 제제로 폐 등 호흡기에만 직접 작용해 다른
부위
부작용이 적고 폐렴 등 코로나19의 증상도 완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셀트리온 연구진이 실험실에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개발을 위한 항체 결합력 시험을 하고 있다. 셀트리온 제공 클레부딘은 B형간염 ... ...
美연구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박쥐·천산갑 거치면서 인체 감염 능력 갖춰”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인간의 세포와 결합하는 데 필요한 수용체 결합
부위
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결합
부위
로 인해 사람의 호흡기에 존재하는 수용체(ACE2)의 표면단백질과 쉽게 결합하는 바이러스가 생겨났다는 결론이다. 연구진은 “박쥐와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 사이에 변종이 생기면서 사람을 감염시키는 능력이 ... ...
코로나19 바이러스 코에 가장 잘 달라붙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연구팀은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감염되는 호흡기
부위
가 얼마나 잘 감염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할 때 이용하는 돌기단백질을 가진 형광 바이러스를 설계해 코와 기관지, 기관지에서 폐로 뻗어나가는 세기관지, 폐포 바깥 세포인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