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스페셜
"
박사
"(으)로 총 1,855건 검색되었습니다.
[속보] 영국의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박사
는 영국 옥스퍼드대를 졸업하고 1965년 케임브리지대 대학원에 진학해 우주론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9년부터 2009년까지 케임브리지대 루커스 수학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물리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기초물리학상’을 비롯해 ‘알버트 아인슈타인 어워드’ ‘코플리 메달’ 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바이오테크놀로지’ 7월호에 발표됐다. 미국 에너지부 조인트게놈연구소 알버트 우
박사
팀을 비롯한 다국적 공동연구자들은 만다린 네 종류와 포멜로 두 종류, 오렌지 두 종류의 게놈을 해독해 비교분석했다. 오렌지가 만다린과 포멜로의 교잡종인 건 확실하므로 그 구체적인 족보를 따져보겠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자회사 칼리코는 1980년 이래 벌거숭이두더지쥐를 연구하고 있는 로 셸 부펜스타인
박사
를 영입해 노화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칼리코 제공)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연구 세계에서 노화를 연구하는 쟁쟁한 과학자들 가운데 구글(칼리코)이 공들여 영입한 사람이 로셸 버펜스타인(Rochelle Buffenstein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꼬불꼬불한 것의 정체는 DNA다. 독일 뮌헨 공과대학 물리학과 엔조 코퍼거(Enzo Kopperger)
박사
연구팀은 염기서열에 따라 스스로 조립하는 ‘DNA 오리가미’ 기술로 25㎚ (나노미터, 10억분의 1m) 크기의 로봇팔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외부에서 조절하는 전기장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이 로봇팔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궁금해진 구아그닌
박사
는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의 동물고고학자 안젤라 페리
박사
를 방문했다. 이제부터 8000~9000년 전 개와 사람이 한 팀을 이뤄 사냥하는 장면을 담은 슈와이미스의 암각화를 하나씩 살펴보자. 실수를 피하기 위해 그림 번호는 논문을 따른다. [그림3 케이넌 도그를 쏙 ... ...
빙하가 무너져 내리는 '얼음 사태' 그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2.03
변화를 입력하자 빙하 표면에 존재하는 물의 양이 50% 늘었을 것으로 나타났다. 길버트
박사
는 “이는 더 많은 물이 갈라진 틈을 통과해 빠르게 얼음을 녹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빙하학자들은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이런 재난은 더 흔하게 일어날 수 있다”고 한 목소리로 경고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배아줄기세포를 적혈구로 분화시키는데 성공했다. 당시 연구를 주도한 로버트 란자
박사
는 상용화를 자신했지만 9년이 지난 지금은 아직은 먼 얘기라고 한 발 물러섰다. 배양 비용을 낮추는 게 생각보다 어렵기 때문이다. - Blood 제공 ● 배양 비용, 여전히 걸림돌 걱정스런 기사를 읽다가 문득 수년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전정기관이나 평형 시스템에 영향을 주기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코벤트리대학의 심리학
박사
토니 로렌스는 ‘기계 속의 유령’이라는 저서에서 초처주파를 통해 유령을 보는 환각을 경험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그가 일하는 곳은 ‘유령이 나오는 실험실’로 불리었습니다. 원인은 조용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쓰는 사람에게는 일탈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원서 제목은 그저 ‘Cure(치유)’로 의학
박사
출신의 과학 저널리스트 조 머천트가 저자다. 이 책은 매뉴얼에 따른 치료(treatment)에만 매몰돼 있는 현대의료체계에서 환자 개인의 고유성과 삶의 질을 고려한 치유로 나아갈 길을 모색하고 있다. 몸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공부와 인연이 멀었지만 글래스고대에 들어가 두각을 나타내 핵물리학으로 1958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논문 주제는 핵붕괴를 측정하는 방사선 계수기 개발로 그가 손재주가 뛰어났음을 짐작할 수 있다. 글래스고대에서 강사로 지내며 드레버는 이론물리학자들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확인할 수 있는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