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스페셜
"
박사
"(으)로 총 1,855건 검색되었습니다.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분자도 호르몬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추측되기 시작했다. 이후 2003년 일본의 고지 고토
박사
가 FT단백질 유전자가 관다발에서 발현된다는 것을 밝히고, 2007년 독일 쿠플랜드 교수 등이 애기장대와 벼에서 FT단백질이 잎에서 생성돼 생장점에 있는 정단조직으로 이동한다는 증거를 밝히면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가 뜨거워지면, 땅속탄소 배출량 늘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4.02
점점 더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고 합니다. 토마스 크로서 미국 예일대 기후에너지 연구소
박사
는 지난해 12월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땅 속 탄소 배출량 증가는 이미 시작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한 연구는 미국의 생태학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게 말이 되는 걸까. 호주 멜버른대 생명과학부 켈리 교수와 스페인 CREAF 루이스 브로톤스
박사
가 쓴 이 글에서 소개된 개념은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해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로사에서 열린 캘리포니아 북서부 종다양성 심포지엄에서 버클리대 임학과 로버트 마틴과 데이비드 샙시스는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걸로 나왔다. 한편 네안데르탈인은 유럽과 아시아인들에 2% 내외의 흔적을 남겼다. 페보
박사
도 믿을 수가 없다고 말했을 정도로 고품질의 DNA 정보를 확보했음에도 데니소바인의 생김새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 다만 어금니가 현생인류의 것보다 1.5배나 더 크고 네안데르탈인의 어금니보다도 커서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시간 결정을 관측했습니다. 반면 하버드대 최순원‧최준희
박사
팀은 다이아몬드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에 전자기파를 통과해 시간 결정의 진동을 관측했습니다. 방법은 다르지만 두 연구는 모두 같은 결과를 의미합니다. 기존의 물리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던, 또한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IL10 유전자 발현 조절 기작에 관한 분자면역학 수준의 연구를 하고자 하버드의대로 갔다.
박사
후연구원 기간 동안 암 연구소(CRI)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았고, 세계적인 면역학자로 인정받는 안자나 라오(Anjana Rao) 교수의 지도하에 IL10 유전자 발현조절 기작에 대한 분자 수준의 후성유전체학적 ... ...
난민과 이주민이 정말 ‘내 나라’에만 많이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나라의 국민은 근거없는 불안감을 갖는다. 영국 버밍험대 사회과학자 낸도 시고나
박사
는 “난민이나 이주민이 많아질 때 생기는 단점에 대한 근거 없는 주장이 많은데, 이 때문에 사람들은 난민 집단에 대해 더욱 큰 공포감을 갖게 된다”고 말한다. 이런 세계적인 현상에 발맞춰 네이처에서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속 희미한 빛이 닿는 곳, ‘트와일라잇 존’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전혀 알지 못한다”며 앞으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리차드 파일
박사
가 코스타리타 해변의 트와일라잇 존에서 자신이 개발한 특수 다이버 탱크를 착용하고 탐사를 하고 있다. - SCIENCE / © Howard Hall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컴퓨터과학자가 개념 제안 2005년 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의 컴퓨터과학자 다비드 하렐
박사
는 학술지 ‘네이처 생명공학’에 기고한 글에서 생물계에서도 튜링 테스트와 비슷한 설정이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즉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역시 다분히 철학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생명체를 ... ...
[네이처]스마트폰으로 상처 찍어 보내면, 인공지능 의사가 바로 처방을?
동아사이언스
l
2017.02.05
인식 등에 활용됐다. 이와 관련된 미국 스탠퍼드대 전자공학부 안드레 에스테바
박사
과정생의 논문이 네이처 2월 2일자에 실렸다. 질병을 판단하는데 인공지능을 쓰는 사례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IBM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닥터 왓슨’은 이미 의료 현장에서 진료에 도움을 주고 있다.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