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리"(으)로 총 4,3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소리를 들려 줬어요. 그리고 먹은 감자칩의 바삭함을 평가하게 했더니, 깨물 때 들렸던 소리가 클수록 감자칩이 더 신선하고 바삭하다고 평가했지요. 스펜스 교수는 이 연구로 2008년 이그노벨상 영양학상을 수상했답니다. 특별 인터뷰 맛있는 요리 비결은 ○○이다?이번에는 맛있는 요리 비결을 ... ...
- 한글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정해진 네모틀을 벗어나 한글 창제 원리에 따라 만든 ‘안상수체’다. 끝소리는 첫소리를 다시 쓴다는 훈민정음 조항대로 안상수체는 종성의 자음 모양이 초성에 오는 자음 모양과 같다.그럼 내 글씨체로도 폰트를 만들 수 있을까? 사람이 쓴 손글씨는 쓸 때마다 조금씩 달라져 폰트로 표현하기에는 ... ...
- 카레이서 ‘ 차타니 막달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대신 검은 점 16개가 찍혀 있는 게 아닌가! 당황한 썰렁홈즈의 귀에 차타니 막달리나의 목소리가 들려왔다.“이번 대회의 첫 관문! 저기 검은 점들 보이시죠? 단 여섯 번의 직선 주행으로 저점들을 슝~ 하고 모두 지나가 주세요! 절대 겹치게 왔다갔다하면 안 된다는 게 규칙이라는 말씀~. 슝~!”미션3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편평한 삼각형 이마와 큰 턱, 입이 달린 얼굴도 소를 닮았다. 심지어 ‘끽끽~’ 하는 울음소리를 들어도 소와 비슷하다. 차이점은 소에는 없는 날개가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름이 ‘하늘을 날아다니는 소(하늘소)’다.파브르는 나무에 사는 하늘소에 관심을 가졌다. 대부분의 사람들도 하늘소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뻥 뚫리는 이유는 뭘까.TV 속 래퍼의 감정이 나에게까지 전이되기 때문이다. 타인의 목소리나 몸짓 등을 보면서 점차 그 사람과 동일한 정서를 경험하게 되는 현상을 심리학 용어로 ‘정서전이(emotional contagion)’라고 한다. 언프리 티랩스타 시즌1에서 타이미는 프로그램 내내 사이가 안 좋았던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그는 지난 6월 9일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이야기를 했다. “미친 소리 같아 보이지만, 화성에도 곧 지구와 같은 통신수단이 필요할 것이다.” 영화처럼 화성에 사람이 가게 될 날이 머지않았다는 판단에서였다. 실제 화성에 인터넷을 연결하겠다는 대담한 구상도 밝혔다. 스페이스X의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얼마나 기쁜데요. 아무 데나 가서 곤충 보는 거랑은 맛이 달라요. (등 뒤에서 박새 울음소리가 들렸다) 근데 사실은 ‘새의 밥상’이 됐어요. 곤충이 많아지니까 새가 얼마나 몰려오는지…, 얘, 네가 우리 애들 다 먹으면 어떡하니!”스테노펠의 어리여치 사랑건혁 학생의 온라인 아이디는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배의 진행을 방해할 정도로 에너지가 크다. 바람이 세게 불 때 전선에서 ‘윙윙’ 소리가 나는 원인도 카르만 소용돌이다. 볼텍스 블레이드리스사가 개발한 막대형 풍력발전기 ‘볼텍스’는 바로 이 같은 공기 소용돌이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다.제품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뤄져 ... ...
- [Life & Tech] 세상이 궁금한 수원청개구리의 외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회원들이 자발적으로 지역의 논이나 호수 등을 찾아 다니며 수원청개구리의 모습과 노랫소리를 채집하고 정보를 공유한다. 장 교수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전국의 수원청개구리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 생태를 연구한다. 지난해 8월에는 이를 바탕으로 쓴 논문을 생태학 국제학술지 ‘생태정보학’에 ...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초식공룡들은 저음파를 이용해 의사소통을 했는데, 티라노사우루스는 이들의 대화소리를 멀리서도 들을 수 있게끔 진화한 것이다.무자비한 포식자인가 따뜻한 로맨티스트인가?무시무시한 포식자인 티라노사우루스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큰 이빨이다. 이빨 끝에서 뿌리까지의 길이는 약 30cm에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