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향
사운드
음파
음성
음
목소리
말
d라이브러리
"
소리
"(으)로 총 4,392건 검색되었습니다.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아니에요. 우리나라 곳곳에서는 지금 외국에서 들어온 식물과 자생 식물이 서로
소리
없는 경쟁을 하고 있답니다.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민들레야, 넌 어디서 사니?햇볕 잘 드는 곳이라면 어디든 간다4~5월이면 어디서나 보이는 꽃이 있어요. 아스팔트가 갈라진 틈, 보도블럭 사이, ... ...
박쥐가 알려 주는 교통사고 방지 전략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귀가 멀 수도 있거든요. 그리고 초음파가 먹잇감에 반사돼 돌아올 때는 귀를 활짝 열고
소리
를 잘 들으려고 하지요. 어떤 박쥐들은 초음파를 쏠 때와 반사돼 돌아올 때 음의 높이가 다른 것을 알아채기도 한답니다.우리는 먹잇감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초음파를 주로 사용해요. 하지만 ... ...
알록달록 색깔 품은 세상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식사하는 집에서는 재즈 음악이 흘러나오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요. 왁자지껄 시끄러운
소리
가 들리는 듯한 집도 무척 흥겨워 보입니다. 테라스마다 사람들이 저녁시간을 보내고 있는 모습이 정말 정겹네요. 만약 여러분이 이곳에 있다면 어느 집에서 함께 하고 싶은가요?중국 후난성 펑황 마을에 ... ...
[참여] 게임카페 1기, 첫 번째 수업 상상력과 논리의 멋진 조화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정리하기에는 시간이 많지 않았어요. 여기저기서 “조금만 더요~!”라고 외치는
소리
에 예정 시각을 넘긴 뒤에야 끝이 났답니다.자랑스런 우리의 게임마지막으로는 부모님들까지 모신 채로 각자 만든 게임을 발표했어요. 조별로 판넬을 들고 앞으로 나와 마이크를 돌려가면서 한 명도 빠지지 않고 ... ...
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생활을 힘들어 했어요. 소영이는 나이 차이가 얼마 안 나는 새엄마가 있거든요. (작은 목
소리
로) 그래서 그 문제에 아주 예민해요. 소영이 때문에 만년 2등인 정숙이가 그 문제로 소영이를 건드렸다가 대판 싸웠거든요. 그 둘이 참친했는데, 주변에서 자꾸 두 사람을 성적으로 비교하니까 어긋나 버린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오전 10시 30분이었다. 눈 딱 감고 한 모금을 꿀떡 삼켰다. 투명한 소주를 마시자 “캬~”
소리
가 절로 나왔다. 반면 자주색 소주는 “음~” 좀 더 부드럽고 감칠맛이 났다. “자주색 소주가 더 순한 건가 보죠? 알코올 특유의 향이나 쓴맛이 덜하네요.” 강희윤 경기도농업기술원 농식품개발팀 박사가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에너지만 놓고 보면 굉장히 비효율적인 행동이에요.
소리
를 만들 때 쓰는 운동 에너지가
소리
에너지로 전환되는 비율은 3%도 안 되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개구리는 짝을 찾기 위해 생명을 걸고 노래해요. 개구리의 노래는 수컷이 암컷에게 바치는 ‘사랑의 세레나데’인 셈이에요.이번 여름,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그래서 요즘은 사람과 닮은 동물로 뇌 연구를 한다고 해.“찍찍! 찍찍!”어? 이게 무슨
소리
지?쥐의 뇌 연구한 과학자 3인, 2014 노벨상 받다!사람을 비롯한 동물의 뇌는 어떤 일을 하는지에 따라 신경세포의 연결이 시시때때로 바뀌어요. 따라서 죽은 사람의 뇌로 연구를 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요.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김선주 선생님이 운영하는 블로그(blog.naver.com/rlatjswn875)에 가 보세요. 각 매미의 울음
소리
는 윤기상 박사님의 블로그(blog.naver.com/cicadasound)에서 들어볼 수 있습니다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에너지를 ‘에네르기’, 뉴런을 ‘노이론’이라고 하는 식이다. 참고로 외래어를
소리
나는 대로 음차하는 경향은 한중일 3국 가운데 일본이 가장 심하고 중국이 가장 덜하다. 한국은 그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북한의 과학 용어 중에서 우리에게 가장 낯선 것은 어원이 외래어인 조선어 용어들이다.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