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통과학연구소 소장 ‘보권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미션4 시간을 보여주는 나무인형“구슬이 굴러가면서 여러 가지 장치를 움직이는데, 장치가 움직이면서 나무인형이 종과 북, 징을 쳐서 시간을 알려 주지.”또 한 가지는 12간지가 새겨진 나무인형을 만들어서 시간이 되면 하나씩 올라오게 만들었다.울려라, 자격루야~!“역시 썰렁홈즈가 최고~! ...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답니다.이뿐만이 아니에요. ‘TCMS(Train Control & Monitoring System)’라는 장치로 각 전동차의 이상을 감지하고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 놨어요. 각 전동차가 지금 어디 있는지, 속도는 제대로 지키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거지요. 이 덕분에 앞의 차에 문제가 생길 경우에도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똥나와라 똥똥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만들어졌답니다. 좌변기에 똥을 누면 물이 흐르면서 물과 섞인 똥이 하수를 처리하는 장치인 정화조로 들어가요. 정화조에 모인 똥들은 분뇨처리장으로 옮겨져 발효되지요. 이렇게 발효된 똥 찌꺼기를 땅에 묻으면 식물을 키우는 거름이 된답니다.명예기자 : 김은강(파주 지산초 5), 이해인(의정부 ... ...
- 알록달록 아름다운 머릿속 실타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제니퍼브라운연구소 과학자들은 MRI(자기공명영상장치)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뇌세포의 영상에 색깔을 입혀 예술작품을 만들었어요. 사진은 70대 노인의 뇌를 MRI로 촬영해 만든 사진이에요.그들은 뇌세포를 관찰하다가 영감을 얻었대요. 1000억 개가 넘는 신경세포와 ...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이끈 주역인 김 소장은 “케이스타는 단순히 더 큰 핵융합 실험로를 짓기 위한 테스트 장치만이 아니다”라며 “케이스타를 이용해 세계적인 연구성과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핵융합에서도 우리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연구 분야를 확보하려고 합니다. 현재 케이스타 안에 있는 초고온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국가가 문화재를 관리하듯, 운석이 발견됐을 때 제대로 보존하기 위해서 국가 공인 장치를 만든 거예요.하지만 운석에 대한 이런 관심이 잠깐 ‘반짝’인 것 같아 아쉽습니다. 아직 국내에는 운석에 대한 연구 기반이 없고, 신고센터가 생겼는데 일할 연구자조차 없는 실정이에요. 후학을 키우는 게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자신과 딸의 과거에 신호를 보내 인류를 구한다. 5차원의 우주가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장치가 된 것이다. 웜홀 있다면 과거로 시간여행 가능!웜홀이 존재한다면 과거 또는 미래로의 시간여행이 가능할까? 전문가들은 웜홀이 존재한다는 가정 아래, 시간여행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것도 무척 중요해요. 정답을 OMR 카드에 표시해야 하니까요. OMR 카드는 컴퓨터 입력 장치예요. 종이 위에 연필이나 펜으로 표시한 부분에 빛을 비추어 판독하고 전기 신호로 바꾼답니다. 일반 사인펜과 컴퓨터용 사인펜은 비슷해 보이지만 잉크 성분에 큰 차이가 있어요. 모든 색소는 빛을 받으면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고출력 가열 및 전원 기술, 고정밀 진단기술 등 주요한 연구 주제 역시 서로 통한다. 두 장치는 상호 보완적이다. 스텔러레이터 연구에 앞장서고 있는 독일, 일본, 미국 등은 토카막 연구도 활발하다. 특히 W7-X를 건설한 독일의 막스플랑크 플라스마물리연구소는 스텔러레이터뿐만 아니라 ASDEX-U라는 ... ...
- PART5. 핵융합의 난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상당히 높은 열을 핵융합장치 내벽에 가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자주 일어나면 핵융합장치의 수명이 짧아질 것이다. 이 때문에 플라스마 연구자들은 불안정성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재료 연구자들은 높은 열에너지를 견딜 수 있는 재료를 개발하고 있다. 다행히 문제를 잠재울 궁극의 재료들이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