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태양으로 다가갈수록 코마가 커지는 모습을 지켜볼 겁니다. 미로, 앨리스, IES 같은 분석장치가 도도한 혜성, 추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거예요. 로제타석이 이집트 문명의 비밀을 풀어주었듯, 우주의 비밀스런 암호를 풀어줄 단서를 발견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과학자들은 저에게 로제타라는 ... ...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시도하고 있어요. 이터와 한국 의 케이스타(KSTAR), 유럽연합의 제트(JET) 등은 도넛모양의 장치에 뜨거운 플라스마를 가두는 방식을 써요(토카막). 독일과 일본 등에는 비슷하지만 세부가 다른 스텔러레이터를 연구하고 있고, 미국은 레이저 핵융합 실험을 하고 있어요. (▶4파트 참조)성시경: …방금 또 ... ...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실험하는 소극적인 장치가 아니라는 거다. 오히려 ‘이터 이후’를 준비하는 미래형 실험장치라는 뜻이다. 양 부장은 “케이스타는 처음부터 이터의 운전 영역을 넘어서는 고성능 운전 시나리오 개발을 염두에 두고 설계됐다”며 “한국형 핵융합로를 건설할 때까지 반드시 돌파해야 할 공학적 ... ...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토카막 건설과 운영 기술, 플라스마 물리학 지식을 총동원해 지상에 초대형 핵융합 장치를 건설한다. 반경은 케이스타의 약 3배, 부피는 약 25배에 이른다. 미래의 상용 핵융합로에 필요한 규모와 거의 같다. 이터는 스스로 타면서 핵융합 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최초의 핵융합 실험로다. 한번 가동을 ...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조금 있다 자세하게 말하자.수백t에 이르는 소행성을 옮기기 위해서 NASA는 역대급 추진장치를 준비하고 있다. 소행성포획용 우주선에는 지름 10.7m의 고출력 대형 태양전지판 두 개를 달 계획이다. 이온 추진 로켓도 장착한다. 제논 가스에 전압이나 자기장을 걸어 전자와 양이온으로 분리한 뒤 ... ...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사용했는데 물고기를 불어서 이동시키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마지막 순간에 입력 장치를 슬라이드로 변경했습니다.3Team 슈팅 게임 -강윤성, 은정민, 이관욱시작 버튼을 누르면 하늘에 떠있는 적군 비행기에서 빨간 직사각형 모양의 총알이 떨어집니다. 화면 아래에 있는 비행기가 우리 ... ...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쪽이 아래인지 개념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더구나 우주선 내부의 모든 벽면에는 기계 장치가 붙어 있어서 도대체 어디가 바닥인지 구별조차 하기 어려웠다.혼란을 느끼는 우리를 보고 하우스 박사가 이유를 설명해 줬다. 그는 우리가 공간에 대한 감각을 느끼는 것은 다양한 기관이 작용한 결과라고 ... ...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디자인했답니다. 또 미끄러지거나 넘어질 때 다치지 않도록 엉덩이 윗부분에 충격 완화장치도 넣었어요.점점 똥~그래지는 ‘공인구’축구공은 예전에는 육각형 패널 20개와 오각형 패널 12개를 꿰매 만들었지만 최근 패널 수가 줄면서 점점 동그래지고 있어요. 축구공을 최대한 구형에 가깝게 만드는 ...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물질의 응용성을 찾아내는 연구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촉매나 투명 전극, 저장장치 같은 게 좋은 예겠죠. 누가 알아요, 정말 10년 뒤에 그 성과로 노벨상도 받게 될지. 그런데 똑같은 연구 한다고 연구비 안 줄까봐 걱정이에요. 어쨌든 논문이 아니라 진짜 좋은 연구에 집중할 겁니다.” 찰스 리(45, ...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요판을 직접 깎았거든요. 돈에 그려진 미세한 지붕 모양 하나하나가 다 위조를 막기 위한 장치인데, 선배들이 한쪽 눈에 현미경을 끼고 ‘나 오늘 기와장 두 장이나 팠다’라고 말씀하시곤 했어요.”하지만 2000년 이후 더 이상 손으로 요판을 깎지 않는다. 지폐 3배 크기의 종이에 스케치를 한 뒤,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