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 게임으로 알아보는 컴퓨터의 역사! 넥슨컴퓨터박물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있을 정도로 다양한 방법이 있어요. 이중에서 가장 간단한 방법은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장치에 분류코드를 매겨 보존하는 방법이에요. 그런데 이때 저장된 파일을 확인할 수 있는 환경도 함께 보존해야 해요. 예를 들어 ‘한글’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기록물이 있다고 해 봐요. 그런데 수십 년 ... ...
-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신경줄기세포에 3가지 자살유전자를 넣었다. 이 자살유전자는 폭탄을 터뜨리는 ‘기폭장치’ 역할을 한다. ‘폭탄’은 5-FC라는 물질로 우리 몸에 많이 넣어주는데, 줄기세포 안에 있는 자살유전자를 만나 5-FU로 활성화되기 전에는 매우 안전하다. 5-FU는 원래 항암제로 널리 쓰이는 물질로, DNA 복제를 ... ...
-
- 블록과 롤링볼의 결합! 큐볼루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큐볼루션의 차지다. 큐볼루션은 자석으로 이어붙이는 특수한 블록을 사용해 롤링볼 장치를 만든다. 정육면체 모양의 블록에는 레일이 들어있고, 블록과 블록은 자석을 사용해 쉽게 결합시킨다. 블록 안에 들어있는 레일이 이어지도록 결합하면 롤링볼이 된다. 한 마디로 블록과 롤링볼이 결합된 ... ...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미국이나 유럽으로 유학을 가야 했다. 그러나 이제는 상황이 다르다. 연구 조건, 장치 및수준도 세계와 경쟁할 수 있게 됐다. 임 교수는 “감사하게도 이제 우리나라는 예전처럼 많은 여건과 지식을 요구하는 연구를 하기 위해 외국으로 나가지 않아도 된다”며 “우리나라에서 박사를 받은 뒤, ... ...
-
- [과학뉴스] 화성 탐사에는 비행접시가 딱?과학동아 l2014년 07호
-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가 비행접시 모양의 새로운 비행체 ‘저밀도 초음속 감속 장치(LDSD)’를 개발해 시험비행에 나선다. SF영화에나 등장할 법한 둥그렇고 납작한 비행접시 모양은 화성대기권 진입 시 공기저항을 크게 하기 위해 특별히 디자인됐다. 화성은 대기밀도가 지구의 1%에 불과해 ... ...
-
- [Life & Tech]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창업자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무더기를 선풍기 기둥에 넣었어요. 높이가 5피트(152.4cm)에 달했죠. 그리고 한 번에 하나씩 장치를 제거하며 소리 변화를 녹음하면서 음색을 개선했습니다.”그는 “이러한 ‘반복’이야말로 다이슨의 디자인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며 토마스 에디슨의 말을 인용했다.“저의 우상인 ... ...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충전이 되는지 실험했다.그 결과, 새 심장박동기는 피부에 붙인 신용카드만한 전원공급장치만으로 잘 작동했다. 배터리를 뺀 심장박동기는 겨우 쌀알 크기로 줄어들었다. 연구팀의 존 호 연구원은 “심장이나 뇌처럼 민감한 조직에 위협되지 않을 정도로 작고 안전한 기기를 만들 수 있을 ... ...
-
- 백년 묵은 시계를 꺼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돌리면 오차가 누적되게 마련이다.그래서 동력원에서 전달되는 힘을 정확하게 조절하는 장치가 필요했는데, 이것이 바로 탈진기(escapement)다. 왼쪽 그림은 대형 시계에 널리 이용됐던 핀휠 탈진기의 구조를 보여준다. 탈진기는 진자와 연결돼 있다. 진자는 진폭에 상관없이 일정한 주기로 흔들리므로 ... ...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것을 보여 주려 한 것이기 때문에,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직접 장치를 만들고 법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어려운 문제들을 충분히 느껴야 다른 사람들과 이에 대해 공유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요.그래서 인터넷으로 실제 인공위성을 만들어 발사한 사례를 검색하고, ... ...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어떤 원리인가요?A 연료전지는 수소나 알코올을 산화시켜 거기에서 전기를 뽑아내는 장치입니다. 핵심기술은 촉매입니다. 수소를 산화시키고 공기를 환원시켜야 하는데, 이것을 도와주는 물질이 필요합니다. 그게 촉매예요. 그런데 촉매 개발이 연료전지 분야의 난제입니다. 백금이라는 금속을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