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20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25만명분 국가출하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3.28
형태다. 식약처는 역가시험, 확인시험, 함량시험을 통해 유전물질과 이를 둘러싼 지질
나노
입자 성분의 양을 측정했다. 또 순도시험, 엔도톡신 시험을 진행해 제품이 오염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제조사 품질보증 책임자가 발행한 품질시험 자료 검토로 품질 일관성을 확인했다. 식약처는 ... ...
[과기원은 지금] 김도현 KAIST 교수, 마이크로섬유 대량생산 공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대량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나노
’에 2월 24일 공개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오는 31일 서울역 회의실에서 사업화유망 기술교류회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교류회는 DGIST가 보유한 정보보안분야 기술을 기업들에게 소개하는 ... ...
부작용 없는 뇌 신호 측정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이 개발한 다기능 그물 구조 탐침이다. 탐침에 삽입된 광도파로를 통해 빛으로 뇌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a). (b)는 광섬 ...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
나노
레터스’에 19일 온라인판으로 게재됐다 ... ...
[과기원은 지금] UNIST, '
나노
주름' 관찰·제어 동시 가능한
나노
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또 연구팀은
나노
현미경으로 ‘빛 입자’로 불리는 엑시톤이 이셀레늄화텅스텐(WSe₂)의
나노
주름으로 모여드는 ‘엑시톤 깔때기’ 현상을 규명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창업진흥센터는 ‘2020년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 특화분야(AI)에 참여 중인 세 기업이 24~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 ... ...
차세대중형위성 1호와 함께 우주 향한 37개 작은 희망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차지한 슬로바키아 코시체대의 위성 ‘GRB-알파’는 감마선 관측 위성으로 수 대를 띄워
나노
군집위성을 갖춘다는 게 목표다. 우주개발 분야 전통 강자인 러시아의 위성들도 오른다. 러시아 위성개발기업 ‘스푸트닉스’의 큐브위성과 함께 러시아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 지원으로 러시아 ... ...
한달내 자연에서 분해되는 KF94 마스크용 필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바꾸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황 단장은 “마스크에 쓰이는 플라스틱은 마이크로,
나노
단위로 작아 빠른 분해가 가능해 생분해를 적용하기 좋다”며 “엄청난 양의 마스크가 쓰레기로 나오고 있는데 생분해할 수 있는 소재를 모아서 이를 대체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이러한 연구가 효과를 ... ...
2차원 반도체 소재 결함 없앴다…단결정 대면적 합성법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8
만들기 위해서는 원자 수준의 결정들을 한 방향으로 정렬시켜야 한다. 연구진은
나노
미터(㎚·10억분의 1m)급 두께의 2차원 반도체 소재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TMD)이 톱니 모양 표면의 금 기판 위에서 단결정 합성하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어 TMD 결정 방향이 금 기판 톱니 표면과 나란할 때 가장 ... ...
초음파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부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주파수 크기의 2배였다. 위어즈비키 교수는 "스파이크 단백질은 높이가 약 10㎚(
나노
미터·100만분의 1㎜)로 워낙 작고 구성 성분을 전부 알 수 없어서 모델링할 때 많은 가정이 필요하다"며 "향후 돼지에게서 나타나는 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TGEV)를 대상으로 초음파 노출 시간 등 어떤 요소가 ... ...
기계연, 세계 최고 수준 효율·안전성 가진 태양전지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7
반도체 물질을 여러 층 쌓아야 한다.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는 양자점은 10㎚(
나노
미터·100만분의 1㎜) 이하의 반도체성 결정 입자로, 크기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반도체 물성을 바꿀 수 있어 다층 흡수체를 만드는 데 매우 유리하다. 기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 ...
마룻바닥서 전기에너지 생산…'압전
나노
발전기'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6
'리그닌'(lignin) 성분을 제거하고 스펀지처럼 탄성을 높여 전기를 일으키는 '압전
나노
발전기'를 개발해 발표했다. 리그닌은 나무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3가지 기본 물질 중 하나로 나무를 단단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물체의 탄성 변형을 통해 전기를 일으키는 압전효과를 이용하려면 단단한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