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실"(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미션3. 빛으로 구조 신호를 보내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기호 2개만 이용할까요? 기호 2개로 통신하는 이유는? 그 이유는 위험에 처했다는 사실을 멀리 있는 다른 사람에게 빨리 알릴 수 있기 때문이에요. 숫자 0과 1로 이뤄진 이진법과 점과 선으로 이뤄진 모스부호는 모든 메시지를 2가지로 표기하기 때문에 어떤 사물이 ‘있다’ 혹은 ‘없다’로 ... ...
- [만화뉴스] 쌍둥이? 사실은 살짝 달라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한 어머니로부터 동시에 태어난 사람을 ‘쌍둥이’라 불러요. 과학자들은 특히 하나의 수정란이 둘로 분열되어 자란 ‘일란성 쌍둥이’는 유전자가 같다고 생각해왔어요. 그런데 지난 1월 7일 아이슬란드의 유전자 분석 기업 ‘디코드 제네틱스’에서 일란성 쌍둥이 387쌍과 가족의 DNA를 분석한 ... ...
- [가상인터뷰] 전기뱀장어, 함께 모여 사냥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자라면 길이 2m에 무게 20kg까지 나가지.뱀장어를 닮은 길고 미끈한 몸을 가지고 있지만, 사실 뱀장어와 가끼운 친척은 아냐. 우리는 잉어목 전기뱀장어과에 속하고, 뱀장어는 뱀장어목 뱀장어과에 속하지. 우리의 가장 큰 특징은 전기를 만들 수 있다는 거야! 어떻게 전기를 만들어?우리의 전기 생산 ... ...
- [2021 소미더뭐니] 특별상을 원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그 결과 소가 사료를 소화할 때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최대 98%까지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이 해초 속 ‘브로모포름’이라는 물질이 소의 장에서 메탄가스를 만드는 효소를 억제했기 때문이죠. 이번 연구를 이끈 롭 킨리 박사는 “소가 배출하는 메탄가스 배출량을 줄여 지속가능한 ... ...
- [질문하면 답해줌!] 배가 고프면 왜 꼬르륵 소리가 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위에서 ‘그렐린’이라는 식욕촉진 호르몬이 분비돼요. 이 호르몬은 위가 비었다는 사실을 뇌의 시상하부로 전하고, 뇌는 이 신호를 통해 음식을 먹을 때가 되었다는 걸 인지해요. 그 결과 우리는 배고픔을 느끼는 거예요.이후 뇌는 위와 장 같은 소화기관이 움직이도록 만들어요. 새로운 음식을 ... ...
- [하비맨] 파이데이를 기념하며 키슈에게 ‘Kiss You’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만든 크림인 ‘아파레이유’를 부어 만듭니다. 그런데 요리에도 수학이 중요하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중량을 정확히 계량하는 일 외에도 수학자들은 전 세계 지역별 요리를 분석하는 일에 수학 식을 사용하고, 고기를 불에 익히면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수학 모형으로 알아보기도 한답니다. ... ...
- [한페이지 뉴스] 큰고래 노랫소리로 해저지형 그린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지속됐다. 연구팀은 이를 분석해 해당 지역이 두께가 1.8km인 현무암 바위 지형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현무암 바위 위에는 400~650m 두께의 침전물이 쌓여 있고, 현무암 아래에는 반려암이라는 밀도 높은 해양암석층이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이처럼 큰고래의 음파로 추정한 해저지형은 에어건으로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 '다양한 몬드리안 VS '일관된' 르누아르 피트 몬드리안은 작품활동 초기에 사실적인 작품을 그렸지만, 공간과 구성을 탐구하며 점차 입체주의(큐비즘) 성향을 드러냈다. 이후 색과 선으로만 이뤄진 기하학적인 추상화를 그리면서 몬드리안만의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했다. 한편 피에르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주차장과 화단 덤불 사이로 뛰어들었다. 김 부장은 곧 고양이가 돌아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고양이를 잃어버렸다고 말하면 다음 번에 직원들을 불러다 놓고 술을 마실 때에는 민망할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또 다른 “고양이를 구조”하겠답시고 이리저리 고양이들이 자주 보이는 ... ...
- [수학뉴스] 선박 이동 경로 최적화해 탄소 배출량 줄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운항할 때 최단 거리 경로로 운항할 때보다 탄소 배출량을 최대 11%까지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IMO의 온실가스 절감 목표에도 부합하는 결과입니다. 만나리니 연구원은 “탄소 배출 절감이라는 목표를 선박 항로의 최적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