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달과 벌이는 별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다시 달에 가려지는 성식이 일어난다. 이 별은 밝기가 3.5등급으로 그리 밝지 않지만
천체
망원경으로 성식을 관측하기에 어려움이 없다. 이때 달은 월령 10.3일로 반달을 조금 넘어선 상태다.성식이 일어나는 시간은 달이 중천 높이 떠오른 한밤중이 조금 지난 때다. 새벽 1시 21분 쌍둥이자리 델타별은 ... ...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으로 배우게 된다. 다른 한편 플랑크 곡선과 슈테판-볼츠만 법칙, 빈의 법칙을 통해
천체
의 파장별 에너지분포를 살펴볼 수 있으며, 도플러효과의 사례인 적색편이와 청색편이를 확인할 수 있다(지구과학Ⅱ).생각해볼문제∙ 전자기파 중 가장 파장이 짧은 γ선, X선은 방사선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 ...
불에 그을린 명화 NASA 기술로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착륙시키는 데에 성공했다. 이로써 인류기술이 달, 화성, 금성에 이어 네번째의
천체
에 발을 디딘 셈이다. 문제는 NASA의 이러한 성과에 대한 미국인들의 시큰둥한 반응이다. 반세기를 맞은 NASA의 우주 탐사는 현재까지는 엄청난 예산에 비해 아무런 경제적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NASA의 ... ...
노우드 핸슨의 발견의 유형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톨레미와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이 티코 브라헤는 지구는 고정돼 있고 나머지 모든
천체
가 이 지구의 주위를 회전한다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케플러와 티코는 새벽녘에 동쪽 하늘로부터 동일한 것을 보고 있는 것인가?그는 지각 경험이 이론이나 개념 또는 배경지식에 의존한다고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망원경이나 쌍안경을 달로 향하는 순간 토끼는 사라지고 새로운 달나라가 펼쳐진다.
천체
망원경으로 달 표면을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무수한 크레이터(운석구덩이)로 덮여 곰보빵처럼 생긴 모습에 놀랐을 것이다. 크고 작은 크레이터 가운데는 작은 쌍안경으로도 잘 관찰할 수 있는 것들이 여럿 ... ...
스티븐 호킹의 우주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전공하고 싶게 만드는 책(아마존닷컴)”이라는 호평을 얻었다.이 책은 맨눈으로
천체
를 관찰하며 그 변화의 이유를 설명하려 했던 고대 그리스인들로부터 무한하며 안정된 우주라는 뉴턴의 우주관을 거쳤다. 그리고 우주는 1백50억년 전에 빅뱅으로 탄생했으며, 역동적으로 진화하는 존재라는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수성이 지구보다 구덩이(충돌구)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이것을 흔히 지구의 대기가 소
천체
충돌시 작은 것은 태워버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에 대해 서울대 이명균 교수(천문학)는“이보다는 충돌로 생긴 구덩이가 지구 대기와 물로 인해 풍화∙침식작용 때문에 ... ...
혜성처럼 살다간 별나그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방법에 대한 글을 올리기 시작했다.자타가 공인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관측자이자
천체
사진작가였지만 별을 바라볼 때 그의 마음은 혜성에 넋을 잃던 어린아이의 마음과 다르지 않았다. 언제나 별에 대해 생각했으며, 끊임없이 별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구체화시켜 나갔다. 별을 보고 자랑하기를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있었다. 컴퓨터는 사전에 입력된 별과 은하의 이미지 패턴과
천체
의 모양을 비교해 해당
천체
의 실체를 파악했다.최근 연구자들은 ‘문서 마이닝(mining)’ 분야를 집중 연구하고 있다. 검색 단어나 문장을 집어넣으면 컴퓨터가 산더미 같은 문서파일을 뒤져 본문을 읽고 내용을 분석한 후 요약 정보와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모인 모습이란 사실은 1610년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인류 최초로
천체
망원경을 만들어서 알아냈다. 플레이아데스가 뿌옇게 보이는 까닭은 밝은 별들이 한곳에 모여 있는데다가 그 주변에 가스가 조금 있기 때문이다.좀생이라는 우리 이름이 있다면 우리 별자리 전설도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