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폭발우주론, 또하나의 시험 통과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온도는 점차 낮아졌다는 것.인도의 스리아난드 박사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우주 변방의
천체
퀘이사로부터 출발한 빛의 스펙트럼을 관측했다. 퀘이사 스펙트럼에서 놀랍게도 퀘이사와 우리은하 사이에 위치한 가스구름에 빛이 흡수된 흔적이 나타났다. 여기서 다름아닌 우주배경복사를 흡수한 ... ...
정월대보름 올해 가장 큰 달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플레이아데스성단과 함께 겨울밤하늘에 화려한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이처럼 네개의
천체
가 한자리에 모이는 현상은 올해가 지나고 나면 약 60년 후인 2060년에나 볼 수 있다고 한다. 올해가 가기 전에 다시 한번 이 귀한 모습을 눈여겨보고 사진이라도 한장 찍어두면 어떨까 ... ...
초승달이 그믐달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000년 11월 29일 서울대 전파망원경이 처음으로 하늘을 향해 거대한 눈을 떴다. 최초로
천체
의 빛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이다. 전파안테나가 설치된지 1년만이다. 대상은 다름아닌 초승달. 우리 눈은 가시광선에만 익숙하기 때문에 여인의 감은 속눈썹처럼 생긴 초승달이 전파로 보면 어떤 모습일까 ... ...
한낮에 흑점 관측하는 요령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구한다쌍안경으로 흑점을 며칠 간 관찰해보면 흑점이 이동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천체
망원경을 이용해도 동일한 관측을 할 수 있다). 흑점 자체가 태양 위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태양이 자전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사진과 같이 쌍안경을 들고 매일 같은 장소에서 흑점의 위치를 그려보면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기술적인 어려움 때문에 경제성 면에서 이득이 없다. 그러나 여러 탐사선들이 태양계 내
천체
들을 탐사해 정확한 성분조사를 하고, 유용한 성분들을 추출하고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새 우주정거장이 완성돼 본격적으로 지구 밖을 드나들 수 있게 되면, 상업적인 ... ...
소행성 발견 2백주년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꼭 2백년 전인 1801년 1월1일에 새로운
천체
가 발견됐다. 다름아닌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이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수많은 소행성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이 가운데는 지구에 엄청난 재앙을 미칠 만한 것들도 있다. 하지만 이 우주의 핵폭탄이 잘 이용되면 소행성의 자원가치는 상상을 초월한다. 이제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애를 쓰기도 했다.현재는 소행성이 행성에 비해 크기가 작고 자체적인 대기를 갖지 않는
천체
로 보통 화성과 목성 사이에 띠(소행성대)를 이루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장 큰 소행성인 세레스의 크기도 지름이 1천km에 못 미치고 나머지는 이보다 훨씬 작다. 현재 지름이 1km보다 큰 소행성의 개수는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천체
가 동일 소행성으로 판명되는 경우, 최초 발견자에게 명명권이 주어진다.대상
천체
의 이름이 최종 확정되면 MPC에서 발행하는 소행성회람을 통해 소행성 발견 사실이 공식화된다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천체
창이라는 명칭으로 더 많이 불린다. 실제로 이집트의 피라미드 중에서 완성된
천체
창은 쿠프의 대피라미드에만 있다. 현대 기하학의 요람이 이집트라는 설은 많은 학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세르비우스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나일강이 범람할 때마다 과거에 구획된 토지의 경계를 알아낼 수 ...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고조선은 청동기시대를 배경으로 꽃을 피운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다. 하늘을 살피고
천체
의 운행을 관측하는 일은 어느 국가에서나 중요한 일이었다. 종교적이나 정치적인 의미를 떠나서라도 농경을 위해서는 계절을 아는 일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다. 과연 그들도 별을 관측했을까.지난 10월 20일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