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스페셜
"
특정
"(으)로 총 1,53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는 로봇도 '소셜' 기능 탑재하는 시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명령을 인식해 사진을 찍거나 가전기기를 조종하는 것은 기본이고, 인터넷에 접속해
특정
정보를 찾기도 하고 식당에 연락해 음식을 주문하기도 한다. 배송 당시에는 영어만 이해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언어로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www.myjibo.com 지보는 외부에서 보내온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평균 키가 작다고. 헬리코박터는 위궤양과 관련된 박테리아로 유명하지만 사실 이는
특정
균주에 한정된 현상이고 이 박테리아가 사람의 위에서 무슨 역할을 하는지는 아직도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다만 식욕을 비롯해 대사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렙틴과 그렐린 분비에 영향을 준다는 ... ...
[Green Focus]‘3세대 바이오매스’ 미세조류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현재 미세조류 바이오디젤 가격은 석유디젤에 비해 5~8배 정도 높다. 또한 유전체 기반의
특정
대사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세조류에 대한 근본적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상병인 바이오ㆍ폐기물에너지 PD는 “광의존성에 민감하지 않으면서 지질 함량이 높아야 ... ...
[Green Lab_현장탐방]바이오연료 만드는 생물시스템공학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대장균. 반응기 아래쪽의 큰 용기에 배양액과 함께 들어 있다. - 김상현 제공 “대장균이
특정
대사산물을 만들어내게 하려고 1000개의 유전자 중 세 개만 조작해야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세 개의 유전자만 다룬다고 하면 아주 간단해 보이겠지만 실제로 이 유전자들을 조작했을 때 나타나는 변화를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오키프 교수는 1970년대 쥐의 해마에서 장소세포(place cell)를 발견한 신경과학자다.
특정
장소에서만 발화되는 뉴런이라서 이런 이름을 붙였다. 유명한 교수 밑에서 연구할 수 있게 된 부부는 그러나 몇 달 안 돼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트론헤임에 있는 노르웨이과학기술대에서 두 사람 다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
IBS
l
2014.10.08
하지만 뇌의 네트워크가 워낙 복잡한데다 신경세포간 상호작용도 빈번하다보니
특정
한 행동을 유발하는 자극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실험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주목받는 분야가 '광유전학'이다. 이름 그대로 빛을 이용하여 신경세포를 자극하는 방법이다. 빛에 반응하도록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하나하나를 놓고 보면
특정
한 지식이 창출되거나 반박되었음이 즉시 알려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각 개인이 갖고 있는 지식은 우리가 입수하는 정보에 좌우된다. - 새뮤얼 아브스만, ‘지식의 반감기’ 2014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오류 논란은 지금 생각해도 납득이 되지 않는다. 제3자인 필자도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반영돼 있다. 즉 물분자가 모여 눈결정이 형성되는 것처럼 세포가 모여 자발적으로
특정
한 구조를 갖는 조직이나 기관이 형성된다는 것. 리뷰 논문을 읽다 필자는 문득 사사이 박사가 오보카타를 적극 돕게 된 이유를 알 것 같았다. 즉 오보카타가 수소이온농도(pH) 변화나 모세관 같은 공간적인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
IBS
l
2014.09.04
'셀(Cell)'의 자매지 '케미스트리 앤드 바이올로지' 7월호에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 특히
특정
위치에 지속적으로 빛을 비출 경우 그 부위로 세포가 모여드는 광주성(光走性)과 유사한 세포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었다. 허 교수는 "최근 논문이 발표된 직후부터 다양한 국가의 연구자들로부터 많은 ... ...
좁지만 넓은 시냅스틈의 비밀, 신경전달물질
IBS
l
2014.09.03
신경전달물질인 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 약제. 신경전달물질은 기능이 다양하여
특정
질환이나 증상에 대한 처방제로 종종 이용된다. - Jfoldmei 제공 신경계가 제한된 뉴런 숫자와 처리속도만으로도 높은 수준의 복잡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변화무쌍한 시냅스틈이다. 시냅스틈은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