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스페셜
"
특정
"(으)로 총 1,536건 검색되었습니다.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13
친숙한 또 다른 그림이 실려 있다. 바로 ‘혀지도’로 네 가지 기본맛이 각각 혀의
특정
영역에서만 감지된다는 걸 보여주는 그림이다. 단맛은 혀끝, 신맛은 혀양쪽, 쓴맛은 혀뒤, 짠맛은 혀가장자리에서 느껴짐을 묘사한 혀지도는 필자가 중고교 시절 생물교과서에도 소개됐다. 보링은 책에서 ... ...
도청의 세계② 창과 방패로 얽힌 도청·방지기술
KISTI
l
2014.01.09
행위를 가리킨다. 사람의 힘을 빌리는 적극적 도청 행위는 작업의 번거로움 때문에
특정
인물의 전화 통화에만 적용된다. 전화기나 전화선에 특수장치를 연결해서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빼내는 적극적 도청은 지금도 기업과 가정 등에서 암암리에 실행되고 있다. 한편으로 자동화된 디지털 통신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빛을 흡수하고 나머지를 반사해 색을 내는 게 색소색이라면, 나노구조를 띠고 있어
특정
파장의 빛을 보강간섭하거나 산란시켜 나타나는 색이 구조색이다. 몰포나비의 번쩍번쩍하는 파란색이 대표적인 구조색으로 파란색 파장의 보강간섭의 결과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앞의 마이클 노이버거도 잠시 머물던)에서 체류하며 세포융합 기법을 이용해 세포표면의
특정
표지에 달라붙는 주문형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주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헤르첸버그는 항체를 만드는 백혈구와 불멸의 암세포를 조합해 만든, 단일클론항체를 무한히 만들 수 있는 세포에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단백질 중간에 다른 단백질의 인산화된 타이로신(아미노산의 하나)에 달라붙는
특정
한 아미노산 서열이 있었던 것. 파우슨은 이 영역을 SH2라고 불렀다. 파우슨은 SH2와 인산화된 타이로신을 통한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외부 신호가 세포 안으로 전달된다고 추측했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다른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뤼슐리콘에 있는 IBM연구소에 들어가서는 반강자성체를 연구했다. 반강자성은 자성체가
특정
온도 밑에서 이웃한 원자의 자기모멘트가 서로 상쇄돼 전체적으로 자성이 없는 상태가 되는 성질이다. 1970년대 들어 로러는 물질의 표면구조로 관심을 옮겼는데, 막상 연구를 하려하자 마땅한 ... ...
[이달의 역사]적군도 친구도 예외 없는 도청의 세계 ①
KISTI
l
2013.12.13
정보를 주고받는 채널이 다양해지고 인터넷 페이지나 SNS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불
특정
다수에게 공개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감시해야 할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이제는 도청 자체보다는 수많은 정보 중에서 쓸모 있는 것들을 골라내는 기술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미국을 곤경에 ... ...
노벨 과학상, 패러다임을 바꿔야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06
열쇠처럼 조합이 맞아야 반응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유전자의 내부를 검사함으로써
특정
조합을 만들어내는 단백질을 규명한 것이다. 이들의 연구는 생화학과 유전학이라는 분리된 학문의 경계를 허물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처럼 노벨 과학상 수상자들은 새로운 ... ...
일터와 산업을 바꿔놓은 한 건의 발명
KOITA
l
2013.11.08
중, 한 헝가리 물리학자가 독일의 학술지에 게재한 짤막한 논문을 발견했다. 이 논문은
특정
물질이 빛을 받았을 때 물질의 전도도가 변화하는 광전도 현상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칼슨은 강력한 빛으로 문서의 상(像)을 만들어 부분적으로 전기전도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복사장치를 만들 수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설사 영재 2000여명의 게놈을 분석하더라도 수학유전자나 지능유전자라고 불릴만한
특정
한 유전자를 찾지는 못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왜 그럴까. 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됐을 때만해도 사람들은 ‘ㅇㅇ유전자’라는 식으로 개인의 특성이나 행동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유전자들을 쉽게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