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음파로 전기 만드는 나노 발전기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개발해 미국의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4월 6일자에 발표했다. 이 발전기는 연구팀이 2006
년
4월 ‘사이언스’에 발표한 나노발전기를 개량한 것이다.나노발전기는 압전현상을 보이는 ‘아연산화물(ZnO) 나노와이어’를 굽히고 펼 때 발생하는 전류를 이용한다. 압전현상이란 특정 물체에 압력을 ... ...
야광구름 생성의 범인은 온실가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여겨져 왔다. 특히 은빛이나 푸른빛을 띠고 있어 보는 이에게 신비한 느낌마저 준다.1885
년
야광구름이 극지방에서 처음 발견됐을 때는 2
년
전 인도네시아 크라카토아 화산 폭발의 화산재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최근 야광구름이 40° 정도의 낮은 위도에서 더 크고 밝은 모습으로 보이면서 ... ...
남극 위기 고발하는 펭귄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랜턴피쉬(심해성의 발광어류)가 남획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연구팀은 2002
년
남극 인근의 크로젯 군도에 서식하는 황제 펭귄에게 칩을 이식해 최근까지 이들의 생태를 관찰해왔다. 칩을 통해 펭귄의 위치와 먹이를 삼킬 때 목구멍의 온도 변화, 그리고 맥박 측정 결과를 전송받았다 ... ...
'달콤한' 배터리 개발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있다. 전투 시 필요한 연료를 쉽게 구해야 하는 군대가 관심을 보인 것. 연구팀은 “3~5
년
안에 실용화가 가능할 것”이라며 “연구 결과가 민간에 확산되면 휴대전화 배터리 등이 대체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 연구는 지난 3월 미국 화학학회에서 발표됐다 ... ...
혈액형 바꾸는 효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얼음덩어리산꼭대기를 덮고 있는 얼음층바닷물이 얼어 만들어지며 아무리 두꺼워도 1
년
에 2m 이상 자라지 못한다 바람이나 해류에 의해 이동하면 유빙(pack ice)이라고 부른다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일종 저장 능력이 뛰어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등 디지털기기의 ... ...
3. 역사 속의 그녀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되기 위해 케임브리지대에서 수학과 물리학 강의를 들어야 했던 여학생들은 1899
년
에 이런 규칙이 정식으로 폐지되기를 기다려야만 했다.맥스웰, “여대생 청강은 안돼!”오스트리아 빈대학 물리학부에 처음으로 입학한 리제 마이트너(1878~1968) 역시 베를린대에서 최신 물리이론을 수강하기 위해 ... ...
러시아 소유즈호 발사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2007
년
4월 4일 오전 11시. Tu-134 군용 전세기가 둔탁한 엔진소리를 내며 가가린 우주인 훈련센터 치칼롭스키 공항의 파란하늘에 날개를 폈다. 한국최초 우주인배출사업 책임자 자격으로 소유즈호 발사장면을 직접 보기 위해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발사기지로 가는 길이다.안전과 경제성 모두 ... ...
신데렐라는 왜 유리 구두를 신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역사가 가이우스 플리니우스는 ‘박물지’(Natural History)에 페니키아인들이 기원전 5000
년
쯤 처음으로 유리제조법을 발견했다고 기록했다. 이집트에서 천연소다를 싣고 돌아오던 페니키아인들이 모래톱에서 식사를 준비하던 중 우연히 모래와 소다를 섞어 가열하면 맑은 액체가 흘러나오는데, ... ...
한반도가 너무 뜨거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5호
4요즘 지구가 자꾸만 더워지는 지구온난화 때문에 난리죠? 그런데 한반도가 지구 전체보다 더 많이 더워진 것으로 나타났어요. 기상청은 최근 “지 ... 0.5℃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요. 올 여름은 지금까지 가장 더운 여름으로 기록됐던 1998
년
보다 더 더울 수 있다니 더위에 조심하세요 ... ...
태양망원경, 해를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해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국천문연구원도 30
년
이 넘도록 태양망원경으로 해를 관측해 왔습니다. 사진에 있는 망원경은 원래 소백산천문대에 있던 것으로, 우리나라 태양천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인공위성에 있는 망원경을 주로 이용합니다. 해의 표면에는 ... ...
이전
1429
1430
1431
1432
1433
1434
1435
1436
14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