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우병, '뼛조각'만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사료는 소뼈나 내장, 개, 돼지, 고양이 등의 사체를 가공해 만든다. 이후 영국은 1988
년
부터 소와 같은 초식동물의 먹이로 동물성 사료를 금지했다.미국도 1997
년
같은 법안을 제정했다. 그렇다면 2003
년
미국에서 광우병 소가 나타난 이유는 뭘까.세포학과 분자생물학을 연구해 온 콤 켈러허 박사는 8
년
. ...
월급 적다고 불평한 아인슈타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과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
년
에 가족, 친구들과 주고받은 편지들이 공개됐어요. 이 때는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으로 유명해지기전이예요.당시 36세였던 아인슈타인은 한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는 비인간적으로 일한다. 늘 초과근무를 한다”고 호소했어요. 특히 “동료 과학자들은 ... ...
왕따 없는 학교를 만들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안녕?난 초등학교 3학
년
때부터 중학교 2학
년
때까지 왕따를 당했어. 무려 7
년
이라는 긴 시간이었지. 나는 단지 선생님과 이야기를 잘 나누고 수업시간에 발표를 열심히 했을 뿐인데 친구들 눈에는 ‘설치는’것처럼 보였나 봐. 나랑 이야기도 안 하고 점심시간에 밥도 같이 안 먹었어. ‘새 학기가 ... ...
'미사일 킬러'에 떠는 러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更新世) 혹은 최신세(最新世)라고도 불린다 지금으로부터 약 2백만
년
전부터 약 1만
년
전 사이의 기간으로, 4회∼6회의 빙기와 이들 사이의 간빙기(間氷期)가 있었다 이 때문에 이 세를 대빙하기라고도 한다 빙기에는 남·북반구의 고위도 지방이나 저위도 지방의 높은 산악지대에 많은 얼음층이 ... ...
사이버 공간에 숨어있는 '훔쳐보기'와 '노출하기'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교수도 “남을 훔쳐보고 싶은 온갖 욕구가 생겨날 것”이라고 예측했다.민 교수는 “2010
년
쯤이면 책상 위의 볼펜, 컵은 물론 넥타이나 냉장고에도 IP주소가 할당될 것”이라며 “마음만 먹으면 옆집 냉장고에 뭐가 들어 있는지도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옆집 사람이 내일 ... ...
수학의 날개를 단 '김연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코치가 수학자라면 피겨 동작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해 훈련하는 일도 가능하다. 1980
년
대 동유럽 출신의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은 난해한 ‘트리플악셀’을 선보이며 국제대회에서 메달을 휩쓸었다.트리플악셀은 30cm 정도 뛰어올라 공중에서 몸을 3바퀴 반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당시에는 ... ...
혼천시계, 지상에 구현한 하늘 모습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지난 1월말 전통천문학에 관련된 유물을 새겨 넣은 새로운 1만원권이 발행됐다. 전통 별자리를 돌에 새긴‘천상열차분야지도’(하늘의 모습을 12 ... 하는게당연하다. 혼천시계에 새겨진 각도 눈금을 보면 국보230호 혼천시계는 송이영이 1669
년
에 만든 혼천시계가 아닐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 ...
디스플레이 선구자 한민구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있다.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 설계 기술을 개발한 한 교수가 주목받는 이유다.1980
년
대부터 TFT-LCD와 씨름해 온 한 교수가 일찌감치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매력을 눈치 챈 것일까. 남들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박막트랜지스터를 만들 때 다결정 실리콘으로 박막을 만들 생각을 했으니 ... ...
타이탄을 덮은 구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지구의 7
년
에 해당해요. 이 구름은 타이탄이 한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갈 때 나타나며 25
년
간 떠 있는 것으로 분석됐어요. 타이탄의 구름은 수증기로 이뤄진 지구의 구름과 달리 메탄이 주성분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요 ... ...
산불 점치는 위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비율이 높으면 그 곳에서 큰 산불이 일어나 빨리 퍼질 위험이 큰 거죠. 연구팀이 지난 5
년
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지역을 조사한 결과 위성이 예측한 산불 지역에서 실제로 산불이 나는 경우가 많았어요. 로버츠 교수는 “위성 자료를 이용해 산불이 날 위험도를 표시한 지도를 제작해야 ... ...
이전
1433
1434
1435
1436
1437
1438
1439
1440
1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