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예술도 이제 과학적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로쿠스 솔루스 운영 작가), 민세희(서강대학교 아트앤테크놀로지학과 교수), 신창호(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국립현대무용단 안무가), 국립현대무용단, 갤러리현대, 미디어아트 그룹 슬릿스코프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예술도 이제 과학적으로Part1. Let’s dance ... ...
- 비둘기 깃털에서 아이디어가 반짝! 태양광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안녕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의 실험맨, 정한길 기자예요. 최근 흥미로운 뉴스를 하나 봤습니다. 한국항공대학교에서 만든 태양광 무인 비행기 ‘KAU ... 항공연구본부 선임연구원), 배재성(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 박상혁(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 ... ...
- [과학뉴스] 지구사랑탐사대, 신종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연구 전까지 수원청개구리로만 알려졌지요.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에 걸쳐 한국과 북한, 중국에 서식하는 수원청개구리의 친척 종을 조사했어요. 서식지의 분포와 개구리의 울음소리, 신체적 특성, 유전자 등을 비교했지요. 그 결과, 노랑배청개구리는 수원청개구리와 신체적인 차이가 ... ...
- [과학뉴스] 알록달록 친환경 태양전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색을 내는 태양전지로 건물을 꾸미고 에너지도 얻을 수 있게 될 거예요. 지난 25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다양한 색을 내는 ‘CIGS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발표했거든요. CIGS 태양전지는 구리(Cu), 인듐(In), 갈륨(Ga), 셀레늄(Se)으로 이뤄진 화합물인 CIGS를 얇은 막으로 유리 위에 쌓아 만든 ... ...
- [기획] 3장. 더 정확한 1kg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단위의 새 표준이 된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_인터뷰김명현(한국표준과학연구원 플랑크상수질량팀 선임연구원) “원기를 들고 직접 국제 비교에 참여했어요!” Q 국제 비교에 참여하러 직접 프랑스를 다녀오셨다고요?그렇습니다. 우리나라가 보관하고 있는 111번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깃털, 원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도입했어요. 이 39번 원기는 해방 후 서울의 한국은행 금고에 보관되어 있었어요. 그런데 한국전쟁 때 사라졌다가 나중에 쓰레기통에서 발견되었지요. 북한군이 금고의 귀중품을 훔쳐가면서, 원기의 용도를 알지 못하고 버린 것이죠. 이후로 우리나라는 3개의 킬로그램 원기를 더 도입했지요.지금은 ... ...
- [특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비행한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 가능하다”고 설명했답니다. _ 인터뷰배재성, 박상혁(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 “남극에서 태양광 무인 비행기를 날릴 거예요” Q 어떻게 하면 태양광 무인 비행기가 오래 날 수 있을까요? 일단 비행기의 무게가 가벼운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기 ...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kg에 도오전! 키블저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대전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어두컴컴한 이곳 지하에 거대한 육면체 모양의 기계가 숨겨져 있습니다. 그 정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정밀한 ‘키블 저울’! 왜 연구원들은 이렇 ... 이광철 책임연구원, 김동민 책임연구원, 김명현 선임연구원, 서민기 선임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
- [기획] 1장. 초정밀 ‘키블 저울’ 찾아 지하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저울이라고요?” “맞아요. 이 기계가 바로 ‘키블 저울’입니다.”기자를 안내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김명현 박사가 대답했어요. 사진을 찍기 위해 위에서 내려다보니, 마치 커다란 강철 상자 안에 든 압력밥솥 같아 보이기도 했지요.‘키블 저울’은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질량을 정밀하게 ... ...
- [특집] 해커의 침입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배 이상의 먼 거리에서도 양자암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 거예요. 양자암호를 연구하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이원혁 박사는 “모든 것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보안이 점점 중요하다”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양자암호는 꼭 필요하다”고 말했답니다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