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START-UP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수학과 함께 살펴보자. 코딩 천재로 거듭난 수학 천재 남도산의 최애는? 제15회 한국수학올림피아드에서 최연소 금상을 받은 수학 천재 남도산은 이과 감성 뿜뿜하는 공대 철벽남으로 성장했다. 그런 그가 가장 좋아하는 건 연애도 이공계 개그도 아닌 인공신경망 짜기라는데?! 남도산은 천재적인 ... ...
- 피타고라스와 이효리의 공통점은? 피타고라스 식단!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식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늘어나는 10대 채식주의자, 그 이유는?한국채식연합에 따르면 2008년 15만 명에 불과했던 국내 채식 인구는 2019년 150~200만 명으로 10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추산돼요. 전체 채식 인구가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청소년 채식 인구도 늘어났어요. 이런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먼저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KSTAR·케이스타)가 있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찾아가 1억℃의 플라스마를 생성하는 뜨거운 연구 현장을 발로 뛰며 취재했습니다. 높이가 10m나 되는 KSTAR의 규모에 입이 떡 벌어졌다고 합니다. 핵융합 상용화에 필요한 다양한 첨단 ... ...
- [한페이지 뉴스] 뉴스페이스 코리아 업리프트, 우주 산업의 ‘별’ 모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업리프트’에 화상으로 참석한 프랑수아 쇼파드 스타버스트 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한국의 우주 산업이 출발점에 서 있다고 강조했다. 동아사이언스와 우주항공 분야 스타트업 전문 액셀러레이터인 ‘스타버스트’가 공동 주최하고, 국제 우주 스타트업 모임 ‘스페이스마피아’와 함께 주관한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피해를 입는 것이다. 한편 국립생태원에서는 2015년부터 구상나무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 예로 구상나무 주변 기후가 고온, 건조, 고농도 이산화탄소(CO2) 상태로 변할 때 구상나무의 유전자 발현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알아내는 ... ...
- 꿈의 에너지 현실이 되다,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 [인터뷰] 유석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장Part3. 50년 인류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 [인포그래픽] 핵융합 에너지가 도시를 밝히기까지 [인포그래픽] 첨단 과학 및 IT 기술의 결정체, 핵융합 발전소Part4. 핵융합 에너지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실험을 모두 마치기 위해 연구원들은 끼니도 잊고 실험에 열중했다.김 부장은 “한국의 핵융합 기술 역사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수십 년 이상 짧지만, 훌륭한 연구원들과 뛰어난 장치 덕에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까지 기술 수준이 성장했다”며 “미래 에너지원인 핵융합 발전을 ...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여기에 부딪혀 삼중수소를 만든다. 연료 공급이 저절로 이뤄지는 셈이다.홍석호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선행기술연구센터 DEMO기술연구부 부장은 “블랭킷을 이용한 삼중수소 공급 시스템은 ITER에 처음으로 적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핵융합 발전을 상용화하려면 건설된 발전소를 더 오래, ... ...
- 꼭꼭 숨은 카메라, 과학이 검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모든 종류의 불법 촬영 카메라를 찾아낼 수는 없습니다. 종합 보안 전문 업체 한국스파이존 이원업 이사는 “은폐를 위해 카메라 위에 검은색 필터를 씌운 장치도 많다”며 “이런 기기는 플래시 빛이 반사되지 않아 간이점검카드로 찾아내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문제는 주파수 탐지기를 ...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2017년 대학원 졸업을 앞두고 진로를 고민할 무렵,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준비했던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공모에서 ‘관내분실’과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 당선됐다는 소식을 들었다. 다음 차기작 의뢰와 칼럼 연재 제안도 들어왔다. 이게 직업이 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딱 일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