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바다오리 알이 타원형인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한 둥지 안에 있으려면
공간
의 효율을 높여야 하지요. 이때 타원형 알이 구형 알보다 빈
공간
을 더 적게 만든답니다.그렇다면 모든 알이 타원형이겠네?그렇지는 않아요. 타원형인 알도 있고, 구형인 알도 있지요. 사실 에너지 효율만 따진다면 알이 구형인 것이 유리해요. 만약 알의 표면적이 같다면 ... ...
[현장취재➊] 수리부엉이의 집은 몇 평?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멸종위기종이에요. 먼 거리를 날아다니며 먹이를 먹기 때문에 행동권은 39.1km2, 서식
공간
은 무려 100km2나 돼요. 도시 하나만 하지요. 그런데 현재 수리부엉이가 살고 있는 경기도 파주의 한 산에 큰 관광지구가 생길 예정이에요. 개발사는 둥지 주변만 보호하겠다고 해요. 하지만 수리부엉이가 제대로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나무 사이를 날아다니는 하늘다람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치워버리는 거예요. 또, 나무의 가지를 과도하게 치는 것도 하늘다람쥐가 살 수 있는
공간
을 위협하는 요인이지요. 하늘다람쥐가 우리 생태계를 떠나지 않도록 숲을 보호해 주세요 ... ...
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모양으로 흐르는 ‘와류’가 생기거든요. 파도풀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직사각형
공간
을 지나던 파도는 갑자기 넓어진 부채꼴 지점에서 벽을 따라 옆으로 흐르게 돼요. 그럼 물은 꺾이던 방향으로 계속 꺾이려고 하고, 결국 벽을 따라 되돌아가면서 물의 흐름이 원을 그리게 되지요.이때 이 지점에 서 ... ...
Part 4. [미션 2] 태양풍을 관측해 대비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해.지구에 빠르게 날아오는 태양풍코로나의 플라스마 입자들은 평소에도 끊임없이 우주
공간
으로 흘러나와요. 이렇게 태양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태양풍’이라고 해요.태양풍을 이루고 있는 입자들은 주로 음전하(-)를 띠는 ‘전자’와 양전하(+)를 띠는 ‘양성자’예요. 이 입자들은 처음에는 매우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몇 년 간 수많은 얼굴들을 태그하면서 학습한 결과다. 윤 책임연구원은 “컴퓨터는 저장
공간
이 무한하다는 특징이 있어 현재 딥미러가 외우는 얼굴 수는 제한이 없다”면서도 “저장된 얼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 닮은꼴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로 오히려 인식률이 떨어질 수 있다”고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한편 수학문화관은 수학 교육과 관련된 체험
공간
은 물론, 수학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공간
도 운영할 예정이기 때문에 학생뿐만 아니라 누구라도 이용할 수 있다. 경남수학문화관 건립을 이끈 정인수 경상남도교육청 창의인재과 수학 담당 장학사는 “수학문화가 대중화되면 쉽게 바뀌기 힘든 시험 ... ...
[과학뉴스] 지구 생명체 기원의 ‘미싱링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조건에서 인-질소 화합물을 만든 초기 광물이 있을 수 있다”며 “이미 우주의 성간
공간
의 가스와 먼지에서 인-질소 화합물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으므로 그 물질이 생명체의 단위 분자 출현에 역할을 했다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화학’ 11월 6일자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이 방식의 한 가지 단점은 소파나 책상, 의자처럼 위치가 바뀔 수 있는 물건이 많은
공간
에서는 위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네이버랩스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가구가 자주 옮겨지는 곳에 바코드를 설치해서 어라운드가 바코드를 스캔해 위치를 파악하도록 했다. 에어카트는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k값을 알아야한다. 1872년 오스트리아의 저명한 물리학자인 루트비히 볼츠만은 위상
공간
에서 시간에 따른 입자수의 분포를 예측하는 ‘볼츠만 방정식’을 발표했다. 이 식을 이용하면 k를 계산할 수 있다. 문제는 이 방정식이 너무 어려워 사람의 손으로는 절대 풀 수 없다는 것이다. 결국 컴퓨터의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