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량
브리지
육교
leg
브릿지
넓적다리
대퇴
뉴스
"
다리
"(으)로 총 1,701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3개 연결해 뇌 하나처럼 쓴다
2015.07.10
차원 범위를 나타낸다. - 사이언티픽 리포트 제공 지난해 브라질 월드컵에서 교통사고로
다리
가 마비된 환자에게 엑소스켈레턴(외골격) 슈트를 입혀 시축을 성공시켰던 미겔 니코렐리스 미국 듀크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이 이번에는 원숭이 3마리의 뇌를 연결해 가상의 로봇 팔을 정교하게 움직이게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했다. 팀 카이스트의 김인혁 연구원은 “힘이 좋아야 걸을 때 안정성이 있다고 판단해
다리
에 ‘슈퍼 커패시터(대용량 축전기)’를 부착했다”면서 “전기를 모았다가 한꺼번에 내보내 강한 힘을 낼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모터가 과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 냉각장치도 ... ...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6.30
가능성이 있는 건, 최근 개발된 해저 탐사용 게 로봇 ‘크랩스터 CR200’이다. 크랩스터는
다리
여섯 개로 몸을 지지해 초속 1m의 빠른 유속에도 버티면서 작업할 수 있다. 크랩스터 CR200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제공 세월호 인양에 크랩스터를 참여시킬 수 있을까. 유승열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
[메르스 업데이트] 박쥐는 어쩌다 인간 감염병 바이러스의 온상이 됐나
2015.06.19
바이러스에 감염돼 100명 이상이 사망했다. 국내에도 동굴 안이나 나무 구멍, 오래된
다리
아래 등 천적으로부터 몸을 피할 수 있는 은밀한 곳에 박쥐가 24종 정도 살고 있다. 국내에 서식하는 박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은 없을까. 박 교수는 “국내 서식 박쥐도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을 ... ...
뇌중풍으로 마비된 몸 자꾸 움직이라는 이유
2015.06.12
관할하는 영역이 크게 줄었다. 또 쥐의 뇌를 해부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자 건강한
다리
만 쓴 쥐의 뇌에는 신경세포의 연결인 시냅스가 지나치게 많았다. 김 연구원은 “시냅스가 많이 생성되면 재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꼭 그렇지는 않다”면서 “이번 연구로 뇌중풍 환자가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아버지 같은 환자 고치기 위해 줄기세포 연구”
2015.06.10
계기는 초파리 사진이었다. 야마나카 교수 눈에 띈 초파리 사진에서 초파리는 눈에서
다리
가 나오는 괴이한 모습이었다. 초파리를 이렇게 바꾼 건 단 한 개의 망가진 유전자였다. 그는 “이 사진을 본 뒤 유전자 몇 개로 다른 형태의 세포를 만들 수 있겠다고 막연히 생각했고, 이때부터 ... ...
[휴보, 로봇 올림픽 우승] 44분 28초 만에 8개 임무 ‘퍼펙트’
2015.06.08
로봇 기술에서 나왔다. 오 센터장은 “하체 힘이 좋아야 걸을 때 안정성이 있다고 판단해
다리
에 ‘슈퍼 커패시터(대용량 축전기)’를 부착했다”면서 “전기를 모았다가 한꺼번에 내보내 강한 힘을 낼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말했다. 정강이와 발밑에 바퀴도 달았다. 두 발로 걷다가 무릎을 ... ...
나뭇잎에 초록빛 주는 물질 구조 나왔다
2015.05.31
걷기 위한 시도를 멈추지 않았다. 로봇은 2분 정도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다가가 결국
다리
3개로 걸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 걷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자동 주행 로봇이 우주나 심해, 재난 지역 등 혹독한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05.29
“재난에 대비해 교통을 설계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말해주는 사례”라며 “
다리
와 교차로 부근의 도로를 넓히면 정체가 비교적 덜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차량의 실시간 내비게이션 정보를 지도에 입력해 교통 상황을 한 눈에 보여주는 새로운 내비게이션도 제안했다. 3D 지도에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05.29
남해에 특화된 로봇이다. 실제로 크랩스터는 지난 달 처음으로 헤엄에 성공했다. 여섯
다리
를 마치 노처럼 저었다. 해양공학수조에서 이뤄진 실험에서였다. 700kg에 달하는 몸을 밀어내는 모습에 연구팀이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고 전봉환 실장은 전했다. 물속에서 모드 전환은 아직 어렵다.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