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스페셜
"
필자
"(으)로 총 1,491건 검색되었습니다.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묘사하고 있다. 평소 개인의 노력은 시스템을 바꿀 수 없다는 비관론에 젖어있는
필자
가 책을 읽으며 감동한 이유다. “지금 해줄 수 있는 것보다 더 나은 걸 만들기 전까지는 병원으로 돌아오지 않겠다”던 드러커는 보기 좋게 약속을 지켰고 지금은 이 대학 부설 나이트암연구소의 소장으로 ... ...
인류 뇌팽창은 전두엽이 주도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 ●소뇌의 재발견 바튼 교수는 논문 pdf 파일을 요청한
필자
의 이메일에 논문과 함께 한 번 읽어보라며 미국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홈페이지에 있는 미국 뉴욕주립대 스콧 배리 카우프만 교수의 블로그 글 주소를 알려줬다. 카우프만 교수는 ‘고릴라도 ... ...
골드바흐의 추측, ‘약하게’ 증명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8
“마침내 내 의혹은 풀렸어. 골드바흐의 추측은 증명 불가능했던 거야!” “어떻게 그런 확신을 하게 됐죠?” 나는 물었다. “직관으로.” 삼촌이 어 ... 중요한 증명 소식을 전할 뿐, 이 업적들의 탁월함과 아름다움을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필자
에게 없다는 사실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 읽어보니 지난 반년동안
필자
가 고민했던 바로 그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그것도
필자
의 입장에서! 알고 보니 엔코드의 주장이 지나치다고 생각하는 생명과학자들이 꽤 되는 듯하다. 두리틀 교수는 동물의 예를 설명하면서 사람만이 정크DNA가 쓰레기가 아닌 예외적인 존재라는 건 ‘게놈 ... ...
분자생물학의 거성(巨星) 떨어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7
최고의 명저라는 것이 개인적 생각이다. 물론 격조 높은 책 제목도 한 몫 했겠지만.
필자
는 수년 전 헤모글로빈의 구조를 밝힌 노벨화학상 수상자 막스 페루츠의 과학에세이집 ‘과학자는 인류의 친구인가 적인가?’에서 프랑수아 자콥의 삶을 다룬 한 장을 인상 깊게 읽은 기억이 나 다시 찾아 ... ...
본다는 것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그러다보니 어느새 세 시간이 훌쩍 지나가 한 시가 넘었고 두 시 기차표를 예매한
필자
는 자리를 털고 일어났다. 얘기에 심취하다보니 점심 먹으러 갈 생각을 못했다며 이렇게 보낼 수는 없다는 최 교수에게 “나중에 전주에 또 오게 되면 그때 사주세요”라고 인사하고 연구실을 나섰다. 그 ... ...
노트북에 코를 갖다 댄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다시 목청을 높이게 됐다. 십 수 년이 지났지만 머스크향을 내는 다양한 분자들의 냄새는
필자
의 기억에 아련히 남아있다. 중수소로 치환돼 새로운 뉘앙스를 띠게 된 싸이클로펜타데카논의 향기를 꼭 한 번 맡아보고 싶다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과학자의 미련을 버리지 못한 과학저널리스트가 주인공이기까지 하다(책을 읽으며
필자
가 얼마나 공감했는지!). 매큐언이 2010년 발표한 소설 ‘Solar(태양에너지)’는 50대의 물리학자 마이클 비어드가 주인공이다. ‘비어드-아인슈타인 융합 이론’으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물론 이런 이론은 없다) ... ...
맛이 좋은 커피, 몸에 좋은 커피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꽤 다르다. 이런 커피는 대개 브랜드 카페에서는 ‘오늘의 커피’로 불린다. 요즘
필자
가 빠져있는 핸드드립 커피는 커피메이커 대신 사람이 내리는 것이다. 드립커피의 노하우 역시 방대한 세계라서 똑 같은 원두를 갖고도 누가 내렸는가에 따라 풍미에 큰 차이를 보인다고 한다. 깔때기 모양의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할 때 정말 현생인류가 아닌 것 같은 외모의 사람들을 간혹 봤다는 말도 했다. 얼마 전
필자
가 느꼈던 것과 비슷한 경험이 아니었을까. 물론 우리 둘 다 비교해부학 지식이 없기 때문에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을 구분하는 골격의 특징을 몰라서 이런 생각을 한 것일지도 모른다. 이 때 박 소장은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