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스페셜
"
필자
"(으)로 총 1,491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루키의 귀환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25
소설을 들고 다니는 것이 유행이었고 하루키와 관련한 것이 문화적 현상이 되었다. (
필자
도 90년대 중반에 모 대학 앞에서 "노르웨이의 숲"이라는 카페를 운영하기도 했다.) 신작 는 스쿠루라는 철도회사에 근무하고 역을 바라보면 과거와 현재를 ... ...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은 사자?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전)으로 통계적 평균값이다. 2006년 ‘사이언스’에 나온 표를 단순화했다. - 강석기 제공
필자
는 예전부터 이들 빅 캣 사이의 관계를 나름대로 설정하고 있었는데, 먼저 호랑이와 사자를 묶고(둘 사이에는 라이거나 타이곤이 태어난다) 눈표범은 표범의 변종, 재규어는 신대륙으로 건너간 표범이 ... ...
헨리에타 랙스, 죽고 나서야 전 세계를 여행한 여인
동아사이언스
l
2013.08.26
전공자는 물론이고 관련 과목을 수강한 사람이라면 헬라세포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필자
역시 ‘암세포로 세포배양을 통해 전 세계 실험실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라는 정도로 알고 있었다. 각종 약물의 안전성 시험부터 우주공간 실험까지 지난 60여 년 동안 안 해본 게 없는 헬라세포는 지금도 ... ...
인간게놈이 양자컴퓨터를 만났을 때
동아사이언스
l
2013.08.20
여전히 이론적인 알고리듬 연구만 해야 한다면 당사자도 꽤 답답할 노릇일 것이다.
필자
가 가끔 모교에 가보면 여기저기 대기업들이 돈을 댄 건물들이 위풍당당하게 서 있다. 대학에서야 공짜로 지어준다니 덥석 받았겠지만 텅텅 비어있는 게 좀 돈낭비라는 생각도 든다. 차라리 양자컴퓨터를 한 대 ... ...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것 같고 한 500밀리리터 정도는 마셔야 확실할 것 같다. 우유 먹고 배탈이 난 기억이 없는
필자
는 10% 확률의 변이 유전자를 갖고 있을지도 모르겠기에 한 번 시험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 ...
박테리아로 박테리아 제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죽음은 정말 뜻밖이다. 그런데 적지 않은 사람들이 패혈증으로 사망하는 것 같다.
필자
주변을 봐도 지난 1~2년 사이 친척 한 분(호흡기 감염)과 지인의 아버님(수술 중 감염)이 패혈증으로 유명을 달리했다. 입원하고 불과 1주일여 만에 사망했기 때문에 가족들로서는 사고로 고인을 잃은 것이나 ... ...
알고 싶어요. 월주리듬이 정말 있는지…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그리고 “몇몇 사람들은 달의 차고 기욺에 꽤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필자
처럼 산문적인 성향의 인간들은 빼고 시인의 감수성을 지닌 사람들만 선별해 위의 실험을 다시 해본다면 훨씬 극적인 결과가 나올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숫자가 서로 다르다. 즉 말은 64개(32쌍)인 반면 프르제발스키 말은 66개(33쌍)이다. 사실
필자
는 작년에 프르제발스키 말에 대해 알아보다 생물이 염색체 개수가 달라도 한 종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참고로 당나귀는 염색체가 62개(31쌍)다. 따라서 말과 당나귀 사이에 태어난 노새나 ... ...
10년 후 우리사회를 바꿔 놓을 만한 미래기술은?
KOITA
l
2013.07.10
정리해 보았다. 무수히 많은 미래기술들이 중요할 것으로 지목되었지만 지면 관계상
필자
나름대로의 판단을 통해 아래와 같이 총 6개를 제안한다. - 착용형 컴퓨터, 로봇, Internet of Things(IoT), 3D 프린팅, 초고속 유전체해독기술, 리튬에어전지 1. 컴퓨터를 입다 : 착용형 컴퓨터 착용형 혹은 의복형태의 ... ...
폐경기 생긴 건 젊은 여자만 좋아하는 남자들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3.07.08
것이다. 당시 정 선생이 무슨 맥락에서 이 얘기를 했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아무튼
필자
는 마치 영화의 한 장면으로 본 것처럼 깊은 인상을 받았다. ●단성 모형 vs 양성 모형 여성의 폐경은 여성 삶에 있어서 또 하나의 전환기다. - 동아일보 DB 제공 사람은 동물 가운데 독특한 특성을 여럿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